20 ethnic groups in Southwestern part of China,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reas in terms of transmitting founding myths, have handed down their own founding myths. Among them, Yi ethnic group draws more attention since it is densely populated and has transmitted regionally diverse founding myths. This paper aims to find both universal and specific features of Korea"s founding myths by comparing Yi"s founding myth recorded at Wienyanghyeon, Winnanseong, China and one from Jeju island. Firstly, by examining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I-jokchangsesa≫, this paper sets four comparison points with founding myths in Jeju island: beginning of the World, origin of mankind, adjustment of the number of moons and suns, and origin of culture. By doing this, Jeju"s one is apparently shorter than one of ≪I-jokchangsesa≫, descriptive mainly about founding procedures but still there are some aspects to be able to compare in general. ‘beginning of the World’: by contrasting several points (1) to create the World from chaos, 2) to separate the heaven and earth, 3) to adjust the number of moons and suns, although we cannot clearly find feasible points to match up, a kind of general comparison between other founding myth of Yi tribe and mainland Korea"s ones generates clear points. In ‘origin of mankind’, while Yi"s ≪I-jokchangsesa≫shows highly developed attributes by depicting procedural evolvement, Korea"s myths show that mainland myths called <Changsega> better reflect the evolutionary aspects rather than ones from the island do. "Flood inundation" which does not appear in Jeju"s myths, functions as one of attributes of founding myths since tales on chastising bad people in <Cheonjuwangbonpuri> defeated the bad people and arrange the New World. In addition, ‘origin of culture’ can be linked with the <fifteen saints> scene of Jeju founding myths which is epic description of divine existences. Meanwhile, some excluded attributes of the Jeju founding myths(e.g. separation between the heavenly father and mother earth, seeking a father, competition to occupy the human world), reflect perspectives of human-being which observe the realm of the divine, while ≪I-jokchangsesa≫ one do reverse way of observing. In other words, when it comes to the World view in the two kinds of founding myth, we can see distinctive aspects of understanding.
중국의 서남부 지역은 창세서사시의 전승에 있어 아주 중요한 지역으로, 20 여 소수민족이 각각의 창세서사시를 전승시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이족은 인 구분포가 높고 지역별로 다양한 창세서사시를 전승시킨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 한 민족이다. 이 글은 이족의 창세서사시 중 윈난성 위엔양현에서 채록한 ≪이 족창세사≫를 택해 제주도를 비롯한 우리의 창세서사시 자료와 비교를 함으로 써 우리 창세서사시가 지닌 보편성과 개별성을 찾고자 하는 글이다. 먼저 ≪이족창세사≫의 구성과 자료 전반의 내용을 정리하면서 추출한 네 가지 주요 신화소인 천지개벽, 인류의 기원, 일월조정, 문화의 기원 등의 비교 항목을 설정해 제주도 창세서사시와 비교를 시도했다. 이를 통해 제주도 자료 가 ≪이족창세사≫보다 분량도 짧고 창세과정을 중심으로 서술되는 양상을 보 이지만 전반적으로 대응되는 양상을 찾을 수 있다. ‘천지개벽’은 1)혼돈으로부 터의 세상창조, 2)천지분리, 3)일월조정 등으로 구분하여 대비를 한 결과 제주 도 자료와 부합되는 양상은 적었지만 이족의 여타 창세서사시 자료나 우리의 육지 창세서사시 자료를 아울러 견줄 때 대응양상이 뚜렷했다. ‘인류기원’에서 는 ≪이족창세사≫의 경우 단계별로 진화되는 과정이 잘 설정되어 있어 그 신 화소가 특히 발달된 양상이지만 우리 경우는 제주도 자료보다는 육지의 <창세 가>에서 인류기원의 진화론적 면모를 찾을 수 있다. 한편 ‘홍수범람’은 제주도 창세서사시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천지왕본풀이>의 수명장자 징치담이 악인 을 멸망시키고 세상을 새롭게 재편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신 화소로 파악했다. 이외에 ‘문화의 기원’은 제주도 창세서사시에 이어지는 <열 다섯십오성인> 대목이 문화를 가져온 신격들을 교술적으로 나열하고 있는 부 분이어서 대응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들 비교항목에서 제외된 제주도 창세서사시 요소인 천부지모의 결 연, 부 탐색, 인세차지경쟁 등을 볼 때, ≪이족창세사≫는 신의 입장에서 인간 세상을 바라보고 대응하는 신화적 관점을 갖는다면 제주도의 창세서사시는 인 간의 입장에서 신들의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이 반영되어 있어 신화적 세계관 에 있어 양자는 서로 차별되는 면모를 파악할 수 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