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reviewed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between flow theory by Csikszentmihalyi and communitas concept by Turner. These two concepts have been studied in many social science areas, but there were som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es as a integrated perspective about certain phenomena such as festival.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apply flow concept to Jeju festival, Yongyeon Night Scenery Representation Festival, to analyze the participant"s flow experience and to review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ults. To apply flow concept to festival experience, this study used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as the methodology to measure flow experience. This method is useful in understanding the state of human"s psychology. The ESM of this study was consisted of seven times stimuli during the festival experience(September 26, 2008). According to the flow researches, even five or ten participants can produce enough reliable data in the simple analysis. In this context, this study using ESM was designed by six members. Through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participants" flow experience in Yongyeon Night Scenery Representation Festival, this study can infer some implementations from the festival planning and management perspectives. As the low flow state of festival participants implied the boredom experience of festival, the lowest time(3rd stimulus of ESM) among festival programs should be examined in the future study. Also, as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festival flow,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more residents or tourists participated in local festival, the more participants"s flow experience became higher.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festival-related study areas in that the research paid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festival participants such as local residents or tourists. And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of flow experience that could be used to promote the local festival. In the en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best way in developing local festivals is to follow the endogenous development process from the community-driven perspectives.
본 연구는 Csikszentmihalyi가 제시한 ‘플로우(flow)’라는 개념과 Turner 가 언급한 ‘코뮤니타스(communitas)’라는 개념의 연관성을 검토하면서 시작 되었다. 이 두 개념은 관광연구 분야를 비롯하여 여러 사회과학 분야에서 널 리 연구되고 있지만, 지역축제와 같은 주어진 한 가지 상황에 대한 복합적 이 해를 위해 통합적으로 고찰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왔다. 이 두 개념을 통해 제주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용연야범재현축제와 같은 지역축제를 기획하고 진행, 평가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검토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 의 목적이다. 현재 지역축제에 대한 접근은 문화적 관점에서 그 원형에 대한 학술적 연구 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연구동향과 관광산업적 관점에서 지역축제를 관광자원 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한 접근 등으로 진행되면서 통합적으로 연 구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왔다. 지역축제는 일본이나 구미권 유명축제에서 볼 수 있듯이,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마을통합과 발전을 위한 일정의 의례적 행 사를 진행하면서 지역축제 정체성이 확보되고 발전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 라의 지역축제는 지역활성화 측면에서 급조된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지역주민 이 어떻게 참여하는가에 대한 다양한 검토가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다. 그래서 지역축제에 참가하는 지역주민이나 관광객이 축제에 참여하는 인식상태와 행 동 경향을 연구하는 학술적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플로우라는 개념은 이런 용연야범재현축제와 같은 지역축제에 참여하는 사 람들이 어떤 참여행동을 보이는가를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할 수 있다. 플로우 상태는 자발적이며 즐거움을 수반하며 일상생활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운 상 태에서 지각하는 주관적 만족감이나 행복감이라 정의할 수 있다. 코뮤니타스라 는 개념 역시 세속적 시간에서 무한한 자유를 얻는 시간과 공간에 관한 구조적 논의에서 파생된 개념으로서 의례와 세속이 연속되는 구조와 시간의 흐름 속 에서 인간의 진정한 행복과 새로운 삶의 에너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논의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개념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이런 플로우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험표집법 (Experience Sampling, Method, ESM)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인간의 심리적 상태를 현상학적으로 이해하는 질적 방법으로서 어떤 상황에 즉시 반응하는 응답자의 생각과 감정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자 비퍼 등의 자극 시점에서의 감정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축제참가자들의 인식이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축제체험 도중이나 축제체험 이후 한 부의 설 문지를 통해 조사하는 방법과 달리 참가자들의 심리상태를 파악하는데 보다 심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플로우 상태라는 매우 주관적인 감 정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 방법을 사용하여, 제주시 지역에서 진행되는 용연야 범재현축제 행사동안 사전에 본 연구를 위해 모집된 조사대상자들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였다. ESM은 질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축제도중이나 축제 종료 후 축제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정량적 방법에서처럼 많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는 필요하지 않다. 본 연구의 연구설계에서는 ESM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계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자의 시간대별 용연야범재 ...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