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정유재란기 파병 明軍의 구성과 朝・明聯合軍

The composition of Ming troops dispatched and Joseon-Ming allied forces when Jeongyu war(丁酉再亂)

  • 0
커버이미지 없음

There is a high interest in the Imjin War(壬辰戰爭) over time. This is because of the high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ause, process, and results of the Imjin War as a international war in the traditional era. The significance of the Imjin War in Korea, China and Japan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difference in the names calling for war. In comparison with the high interest in the Imjin War, the Jeongyu war(丁酉再亂) is relatively recognized as the latter part of the Imjin War, and in depth research on the cause, process and results of the war should be pursued in the future. First, this article analyzes the dispatch demand of Joseon during the period of the Jeongyu war and the process and background of Ming troops" participation in comparison with Imjin War. Second, the structure and command system of the dispatched troops are compared with the command system of Ming period. Third, the operation of Ming troops dispatched, the composition of the Joseon-Ming Allied forces and major battles are summarized by time,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ing"s military dispatch and the Joseon-Ming Allied forces during the Jeongyu War are analyzed. The Imjin War that took place in 1592 was an early defeat of the Joseon troops, and it was an unfamiliar war in the history of East Asia in which the Ming troops were dispatched at the request of Joseon and the Joseon-Ming Allied Forces were formed. The Ming argued that when the Imjin War broke out, it would send troops in relation to the difficulties of military affairs and the possibility of invasion of the Ming of the Japanese military. Eventually, the Ming, who dispatched the troops, did not win a big victory due to lack of prior knowledge and disregard for the Japanese military. However, the dispatch of the Ming changed the battlefield of the Imjin War and resulted in the unfolding of the war since mid-1393. The dispatched Ming troops were active in negotiating the strengthening to minimize the loss of military power and to end the war with the emperor. On the other hand, Joseon, who was the worst victim of the war, was opposed to the defeat and complete withdrawal of the Japanese troops. The policy of investiture(封貢政策) between the Ming and Japan was different from what the top decision makers of both countries knew, and the negotiators in the middle acted actively. Finally, the policy of investiture, which had not been reported accurately to the Wanli Emperor(萬曆帝) and Toyotomi Hideyoshi(豊臣秀吉), was finished with a breakdown, resulting in the outbreak of the Jeongyu war. The Ming had a high military crisis due to the rebellions and clashes in the western and southwestern borders, and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turmoil caused by the fire of the Imperial Palace and excessive tax collection made it difficult to dispatch massive troops. Nevertheless, the dispatch of the Ming troops was quicker than in the Imjin War, and in addition to the perception that they were merely warfare due to the invasion of the Imjin War, Japan"s aggression in negotiations and the dispatch of the emperor"s was break down and undermine authority. The dispatched Ming troops had a problem with the command system similar to the Imjin War period, but the extent and method differed greatly. In other words, the problem of segregation between the military command power and the military administration, the military operation management and the inspection problem by the Army Inspector(監軍) out of a civil servant(文官), the connection with the politicians of the military commanders, conflict between south-troops and north-troops, and so on. Due to these problems, the Ming troops were defeated in numerous battles during the war. In particular, the battle of Ulsan Japanese-built fortress(蔚山倭城戰鬪) was defeated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top commander of the Ming troops had been mobilized and had the dominant combat power of the Joseon-Ming allied forces...

전통시대 국제전쟁으로 그 원인, 과정, 결과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가 높기 때문에 시대를 초월하여 임진전쟁에 대한 관심은 높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임진전쟁이 가지는 의미는 현재, 전쟁을 부르는 명칭의 차이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임진전쟁에 대한 높은 관심에 비하여 정유재란은 상대적으로 임진전쟁의 후반부로 인식하고, 전쟁의 원인, 과정, 결과 등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는 향후 추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글은 첫째, 임진전쟁과 비교하여 정유재란 시기 조선의 파병요구, 명군의 참전과정 및 배경을 분석하고, 둘째, 파병된 명군의 구성 및 지휘체계를 명대 지휘체계와 비교하여 정리하며, 셋째, 파병된 명군의 작전 및 조명연합군 구성과 주요 전투를 시기별로 정리하여 전체적으로 정유재란 시기 파병 명군과 조명연합군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분석한다. 1592년 일어난 임진전쟁은 조선군의 초기 패전으로 외국의 요청에 의해 명군이 파병되어 조명연합군이 결성되어 치루어진 동아시아의 역사에서 유래없는 전쟁이었다. 임진전쟁이 발발하자 명나라는 파병여건의 어려움, 일본군의 명나라 침범가능성 등을 두고 군대파병 여부에 대해 논쟁하였다. 결국 군대를 파견한 명나라는 일본군에 대한 사전정보의 부족과 무시하는 태도로 큰 승리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명나라 군대의 파견은 임진전쟁의 전황을 바꾸었으며, 1393년 중반이후 소강상태로 전개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파견된 명군은 군사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황제국으로 전쟁을 종식시키고자 강화협상에 적극적이었다. 반면에 전쟁 최대 피해국이었던 조선은 일본군의 패배와 완전한 철수를 위해 반대입장이었다. 명・일간에 진행된 일본에 대한 봉공정책은 명・일 양국의 최고 정책결정권자의 의도와 달리 중간 교섭담당자간에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최종적으로 만력황제와 풍신수길에게 정확하게 보고되지 않고 진행되었던 봉공정책은 파행으로 마무리되었으며, 그 결과로 정유재란이 발발했다. 서쪽과 서남쪽 변경지역의 반란과 충돌로 군사적 위기감이 높았으며, 황궁의 화재와 과도한 세금징수 등으로 사회・정치・경제적 혼란이 가중되던 명은 현실적으로 대단위 군대파병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유재란시기 명군의 파병은 임진전쟁에 비하여 신속하게 이루어졌으며, 이는 단순히 임진전쟁 참전으로 인한 전쟁 당사자라는 인식에 더하여 강화협상 및 황제 명의의 책봉사 파견에 대한 일본의 파행을 황제권에 대한 도전 및 손상이라 여겼기 때문이었다. 파병된 명군은 임진전쟁 시기와 유사한 지휘체계의 문제점이 있었지만, 그 정도와 방식이 확연하게 차이점을 보인다. 즉, 군령권과 군정권의 분리로 인한 문제, 문관출신 감군에 의한 군사작전 관리・감찰 문제, 관리・감찰의 권한을 넘어서 직접 군사작전 지휘로 인한 혼란, 군사지휘관들의 정치적 연결, 남병과 북병의 갈등 등 다양한 문제가 노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쟁수행과정에서 전투의 패배로 이어졌다. 특히, 울산왜성전투의 패전은 명군의 최고 지휘부가 총동원된 전투이자 우세한 전투력을 가졌던 조명연합군의 작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패배하였다. 그 결과는 엄청난 파장을 불러왔다. 정응태의 고변으로 명군 최고지휘관 가운데 한명 이었던 양호가 교체되고 많은 군사지휘관이 징계되었다. 지상과 해전에서 조명연 ...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