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looks into the middle English Word Variation in Chaucer"s Canterbury Tales. The characteristics of word order in Middle English compared with Modern English are as follows: (1) The word order in the noun phrase appeared in the following way. a. [NP D+A+N] ==> [NP D+N+A] b. [NP D+A+N+PP] ==> [NP PP+D+A+N] c. [NP D+A+N+[AP A+to-inf]] ==> [NP D+A+N+[AP to-inf +A]] d. [NP D+A+N+[AP Part+PP]] ==> [NP [AP PP+Part]+D+A+N] (2) The relative clause modifying its head noun appears as follows. [D+N+PP + RelC +(ther was also)] ==> [D+N+ +(ther was)+PP+(also)+RelC] (3) The numerals modifying its head noun can be separated as follows. [S+MV+Num+N+Ad] → [N+Ad+S+MV+Num] (4) The word order related with objects, complements, and adverb phrases will be as follows in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1) a. [O+AV+S+MV] b. [O+S+MV] c. [O+MV+S] 2) a. [C+MV+S] 164 박 순 봉b. [C+S+MV] 3) a. [Ad+AV+S+MV] b. [Ad+AV+MV] c. [Ad+S+AV+MV] d. [Ad+S+MV+AV+O] e. [Ad+MV+S...... O] (5) The word order related with objects, complements, and adverb phrases will be as follows at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1) a. [S+O+MV] b. [S+O+MV] 2) a. [S+C+MV] b. [S+C+MV] 3) a. [S+AV+O+MV] b. [S+AV+O+MV] (6) The word order related with auxiliaries can be as follows. 1) a. [S+MV+AV] b. [MV+AV+S] c. [MV+AV+S] d. [S+Ad+MV+AV] e. [MV+S+AV] 2) a. [AV+Ad+O+MV] b. [S+AV+O+MV] 3) a. [S+AV+MV+AV] b. [S+AV+MV+AV] (7) Even though many differences in word order between modern English and Canterbury English can be found, the latter obeys the rules and constraints that Chomsky and Ross proposed except coordinate structure constraints. (8) According to the above facts, we can guess that the structure of the Canterbury English will be flat structure, not hierarchical structure. (9) Finally, because Canterbury Tales is a verse and it follows the rules of versification, the word order could be intertwined so drastically that it shows a lot of differences compared with modern English.
본 논문에서는 『캔터베리 이야기』에 나타난 중세영어의 어순의 변이 현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어순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현대영어와는 다른 다음과 같은 특이한 현상들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명사구 내에서의 어순의 변이현상은 다음과 같다. (20) a. [NP D+A+N] ==>[NP D+N+A] b. [NP D+A+N+PP] ==>[NP PP+D+A+N] c. [NP D+A+N+[AP A + to-inf]] ==>[NP D+A+N+[AP to-inf +A]] d. [NP D+A+N+[AP Part+PP]] ==>[NP [AP PP+Part]+D+A+N] 둘째, 명사구 내의 핵명사를 수식하는 관계절은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와 상당히 떨어져서 나타나는 경우를 볼 수 있었다. 셋째, 명사구 내에서 수사가 명사를 수식할 경우에 수사는 수식하는 핵명사와 완전히 떨어져 문미에 위치하는 경우를 볼 수 있었다. 넷째, 목적어, 보어, 부사(구)가 문두에 올 경우, 다양한 어순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목적어, 보어, 부사(구)가 문중에 올 경우, 여러 가지 어순을 보여주고있다. 여섯째, 조동사의 어순은 현대영어와 상이한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일곱째,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보여지는 중세영어의 어순은 현대영어와는 판이하게 다른 현상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은 문장 내에서의 이동이므로 촘스키의 인접조건을 잘 지키고 있으나, 로쓰의 등위구조제약은 어기는 예들을 볼 수 있었다. 162 박 순 봉여덟째, 『캔터베리 이야기』에 나타난 중세영어의 어순은 목적어, 보어, 부사(구)가 문장 내에서 자유롭게 나타남을 알 수가 있는데, 중세영어의 문장의 구조는계층구조가 아닌 평면구조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캔터베리 이야기의 어순은 촘스키의 인접조건 및 기타 로쓰의제약들을 대체로 잘 지키고 있으나, 위배하고 있는 경우는 캔터베리 이야기가운문이기 때문에 각운을 지키려고 하다가 보니까 어순을 위배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가능하면 현대영어에서 보여지는 조건이나 제약들을 대체로 지켜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논의되지 않은 사항으로는 현대영어에서의 보문자가 두개 연속하여 나올 수 없다는 보문자제약(Complementiser Constraint)과 For-to Filter 와 같은 여과(Filters)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다. 추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