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한국 사회 종교 갈등 축소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 연구 : 다양한 종교 이야기들이 모이는 장으로서의 플랫폼 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Database for Reduction of Religious Conflicts in Korea

  • 0
커버이미지 없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feasible ways in Christian Education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inter-religions. Literature research on Narrative Theology, Platform, Big Data, and Christian Education had been conducted and based on this research the exchange of stories is presented as educational methods. Also, platform and database building are suggested as a way of effective exchange of the stories. An extensive social materials and documentary research about platform, big data and social data had been made to support the idea, including studies on the social phenomena and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social impact of platform. To sum up, this researcher proposes the exchange of stories through platform in order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inter-religions as follows: first, building a database of religious conflicts in Korea; second, proposing a contents of a platform for drawing more early users; third, utilization of Big Data through the platform.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it engages "platform", one of the most attention-receiving agenda today, to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and proposes three specific steps to implement the idea. In addition, this researcher suggests further research needs for establishing religious story platform and it will be helpful for the work of other resear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의 종교인들이 서로에 대한 이해에 기반하여 공감대와 연대의식을 회복하도록 도울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다. 한국 사회 종교 갈등의 특성과 주요 종교 갈등 주제 조사를 위해서 관련 분야의 문헌연구를 일차적으로 사용, 기존의 연구 성과물을 참조하고 다양한 연구결과에서 제시되었던 관점들과 자료들을 재구성하면서 한국 종교 갈등에 대한 구조와 주제 등에 대한 일차적 가설을 세웠다. 이에 한국 사회의 종교 갈등을 크게 개인적 차원에서의 갈등과 집단적 차원에서의 갈등으로 나누고, 종교 갈등의 주요 원인들로 첫째, 각 종교의 가르침 및 전통에 대한 오해나 정보의 부족, 둘째, 지나친 종교적 특수성의 강조,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두 번째와 연결되어 종교 간의 화합이나 공존의 노력을 종교 혼합주의로 치부하는 종교 근본주의적 자세로 제시하였다. 이의 해결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방안으로는 종교 전문가의 연구에 의해 종교 갈등의 현황에서 도출된 주요 주제들에 대한 것으로 한정한 초기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소셜데이터 분석 등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보완, 일반 종교인들의 참가를 위한 이야기 플랫폼 구성, 그리고 플랫폼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활용 방안, 플랫폼 이용도를 높이기 위한 컨텐츠 제안 및 플랫폼 이용 빅데이터 분석 등을 제안하고 플랫폼의 재정적 자립을 위한 제안을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현재 모색되어지고 있는 지식 플랫폼의 구축 사업의 일부로 다종교 플랫폼을 받아들이고, 초기 재원을 지원할 것을 요청하였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