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디자인의 진화와 진화심리학

Evolution of Design and Evolutionary psychology

  • 0
커버이미지 없음

A study is a view of the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psychology. The biological evolution of the field of evolutionary psychology, methodologies for observing the departure, but more broadly as well as the microorganism, biological evolution, even in the field of economics to study th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economic or marketing research methodology is often.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 of recent field of design styles to disappear or go through tumultuous change emerging simply because the design is not part of the industry. Therefore, in terms of a microscopic part of the design changes to accommodate the current trend in the pattern only, not to interpret the design in terms of macro-e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sign field was investigated. The design is the result created by the designer. The design was created as a medium of design is not an organism, Designers to produce design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ser requirements, attitude, communication, economics, social and cultural posi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such acts will be designed to accommodate. After all of these factors organism "Evolution" is consistent with the concept. In addition, evolutionary "natural selection" as unnecessary design is gone, Dominant factor with a design that is required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survive naturalistic phenomena and can be assigned. A study started from the design evolution of a paradigm shift, evolutionary psychology theory "meme" theory from the evolution of the design were studied.

본 연구는 진화심리학 관점에서 현대디자인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진화심리학의 분야가 생물의 진화를 관찰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출발하였으나, 넓게는 생물뿐만이 아니라 미생물인 경제학 분야에까지도 진화심리학적 관점으로 경제를 연구하거나 마케팅 방법론을 연구하기도 한다. 근래의 디자인 분야는 사회문화적 영향과 다양한 수용조건의 전이로 스타일이 사라지거나 새롭게 등장하는 변화의 격동을 거치기 때문에 디자인을 단순히 단편적 산업의 일부로 해석하기엔 무리가 따른다. 그러므로 디자인을 미시적 관점에서 부분적인 변화양상만을 트렌드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거시적 관점에서 디자인을 조망해 볼 필요성이 증대하여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디자인 분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디자인은 디자이너에 의해 창조된 결과물이다. 디자인의 매개물로 만들어진 디자인 결과물을 유생물의 그것과 같이 스스로 형태를 갖추고 자라나는 특성을 지닌 것은 아니다. 그러나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주변환경과 사용자의 요구사항, 태도, 소통, 경제성, 사회문화적 위치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수용하여 디자인 행위를 하게 된다. 이러한 요인들은 결국 유생물의 ‘진화’라는 개념과 일치하게 된다. 또한 진화론의 ‘자연도태’와 같이 불필요한 디자인은 사라지게 되고, 필요한 우성인자를 지닌 디자인만 살아남게 되는 적자생존의 자연주의적 현상과 대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다위니즘에서 출발한 진화심리학적 이론 중 ‘밈’이론에서 출발하여 디자인의 진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