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measures Korea"s real effective exchange rate(REER) at industry level using industry-level producer price index in major trading partner countries of Korea. At the industry level, it analyzes the effects of changes in nominal exchange rate on REER and those of movements in REER on export volume. The results of this paper show interesting findings. First, each industry has substantially different movement in its REER and its influence on export volume is also different from industry to industry. The effects of changes in norminal exchange rate on REER vary from industry to industry, too. Second, the influence of the REER on export volume is in general reduc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Lastly, in the post-crisis period, there was a time lag of more than 6months for the REER to have an impact on export volume in most industries, especially in leading export industries in Korea. Our empirical studies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non-price competitiveness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internationally competitive market while the influence of nominal exchange rate on export rate on export volume gradually diminishes.
본 연구는 주요 교역상대국의 제조업 업종별 생산자물가지수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실질실효환율을 제조업 업종별로 시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업 업종별 가격경쟁력에 대한 명목환율의 영향과 수출물량에 대한 실질실효환율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외환위기 이전에는 실질실효환율의 움직임이 대부분의 업종에서 유사하였으나 외환위기 이후 업종별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01년 이후 1차금속, 가죽․신발, 음식료품 등은 실질실효환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한 반면 컴퓨터 및 사무회계용기기, 영상ㆍ음향ㆍ통신, 전자관 및 전자부품 등 주력 수출업종의 경우 원/달러 환율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실질실효환율은 크게 상승하였다. 둘째, 대부분의 업종에서 외환위기 이후 수출물량에 대한 실질실효환율의 영향력이 작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컴퓨터 및 사무회계용기기, 전기기계, 자동차, 전자관 및 전자부품 산업의 경우 실질실효환율의 변동이 수출물량에 미치는 영향력이 외환위기 이후 매우 작아졌다. 셋째, 최근의 주력 수출업종의 경우 실질실효환율이 수출물량에 영향을 미치는 시차가 6개월을 초과하여 상당히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최근 원화의 명목환율 절상에도 불구하고 기술혁신이 활발한 주력 수출업종의 가격경쟁력이 다른 업종에 비해 높게 유지되고 있고 수출물량의 환율의존도도 낮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의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환율정책 보다는 생산성 향상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와 더불어, 디자인 개선, 다양화, 현지화, 사후관리 등 제품의 질적 수준 향상을 통한 비가격적 경쟁요소의 확보가 더욱 중요하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