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학동 전기 소아에서의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과 위험 인자에 관한 연구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in Kindergarten AgeChildren in Korea

  • 0
커버이미지 없음

Purpose : Whereas allergic disease has the high morbidity during preschool age,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surveys among the children in that age group. Thus we evaluated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among pre-school age children and risk factors which could cause or aggravate the disease.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93 kindergarten children, from 5 different kindergartens in Seoul between May and June, 2004. The standard for prevalence was whether one had been treated for allergic disease in past 12 months. Parents or guardians were surveyed to answer for each risk factor. Results : For a question, “Have you been treated for allergic disease during past 12 months?”, asthma showed 3.9% prevalence. For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were 11.1% and 20.1% respectively. Children with at least one of three diseases were 29.7%. Among children with asthma, risk factors were past history of bronchiolitis and paternal history of allergic disease. For allergic rhinitis, they were past history of bronchiolitis, mother"s high education, and maternal history of allergic disease. For atopic dermatitis, risk factors were history of allergic disease of mother and father only. Other possible risk factor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nclusion : Compared to the prevalence of primary school children(1995, 2000), asthma showed no difference but allergic rhinitis was lower and atopic dermatitis was higher. Among pre-school children, risk for allergic disease was higher with parental history of allergic disease. Especially the risk for respiratory allergy was even higher for those children with history of bronchiolitis.

목 적 : 알레르기 질환이 영유아 시기에 발병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의 어린이에 대해서는 조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학동 전기의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다른 연령의 유병률과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들 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5-6월에 서울지역의 5개 유치원생 593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병률의 기준으로는 각 알레르기 질환으로 "지난 12개월간 치료받은 적이 있었습니까"를 기준으로 하였고 각 위험 요인에 대하여 질문하여 부모나 보호자가 응답하도록 하였다. 각 항목에 대하여 student t-test와 odds ratio를 구하였다. 결 과 : "지난 12개월 동안 치료 받은 적이 있었습니까" 라는 질문에 대하여 천식은 3.9%, 알레르기비염은 11.1%, 아토피피부염은 20.1%로 나타났다. 세 질환 중 어느 한 가지라도 지닌 경우는 29.7%이었다. 천식에서는 과거에 세기관지염을 앓은 병력이 있거나 아버지의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경우에, 알레르기비염에서는 어머니가 고학력일 때, 과거에 세기관지염의 병력이 있을 때, 그리고 어머니에게 알레르기 병력이 있을수록 위험이 높아졌다. 아토피피부염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알레르기 병력에 대하여만 위험이 높아졌다. 그 이외의 인자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결 론:서울의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을 알아보았으며 초등학생의 유병률(1995년, 2000년)과 비교하면 천식은 차이가 없었으며, 알레르기비염은 낮게, 그리고 아토피피부염은 높게 나타났다. 학동 전기의 소아들 가운데 부모에게 알레르기 병력이 있을 경우 알레르기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며, 호흡기 감염으로 세기관지염을 앓았을 때 호흡기 알레르기의 발생 유무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하겠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