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 cases of playful visual language occur to deliver message more effectively as communication technology advances. As a visual language, technique to make users quickly perceive and actively absorb information is now generalized in its use. At the same time, phenomenon like lacking clear understanding from excessive superficial play focused only on being an issue or violating a copyright arose. And unfortunately, this phenomenon degrades the true value of the communication tool. This study is to look into visual language and visual humor as a communication tool and to polish functions and meaning of hommage by refining existing confusion among parody, pastiche and hommage. Also examples are categorized by different time period and various field. Lastly, a concept for hommage is established through analyzation of divided category such as alteration, insertion, reconstruction, and reinterpretation. During the participation of ‘the Social Enterprise Design Support Project’, which lasted from July 2009 to July 2010, this researcher created illustration using hommage method. And through the process, its potential possibility as a graphic identifier was sought after. This study aims to deal with the production process based on correlations with types of business, philosophical ideas, roles, and brand images and to propose possible communication effects of completed humor-based visual language.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보다 빠르고 인상적인 메시지 전달을 위한 수단으로 유희적 시각언어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시각언어로서 정보를 수용자에게 빠르게 인식시키고 능동적인 수용을 유도하여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이는 기법은 그 활용이 보편화되었다. 하지만 피상적 유희에 의존하여 명확한 인식이 부족하고 화제성에만 초점을 맞추거나 저작권에 위배되는 등 소통의 도구로서의 가치가 퇴색되는 현상도 존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시각언어와 비주얼유머에 대하여 알아보고 혼돈되고 있는 패러디, 패스티쉬, 오마주의 정의를 명확히 하여 오마주의 기능과 의의를 재조명 하였다. 또한 시대와 영역별로 나타난 다양한 사례들을 분류하였으며, 대체, 삽입, 재구성, 재해석등의 유형별 분석을 통하여 오마주 개념을 정립하였다. 연구자는 2009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참여한 ‘사회적기업 디자인지원 프로젝트’를 통하여 오마주기법을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하여 그래픽 아이덴티파이어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는 각 회사의 업종, 이념, 역할과 브랜드이미지와의 연관성을 전제로 진행된 제작과정을 다루고 유머를 기반으로 완성된 시각언어의 커뮤니케이션효과를 가늠하여 활용방안과 전망을 제시함에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