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s make consumers feel visual enjoyment and have long memory of products, leading to their product purchase. For this reason, an advertisement has to induce consumers through phantasy, queerness and novelty. Allegory, based on imaginary interpretation, is considered to be instrumental in interpretation of today"s advertisements. And surrealistic depaysement skill, which expresses differentiated creatives, releases the unconscious world and draws people"s attentions via its foreignness. So, this study classified the advertisements using depaysement skill out of fashion advertisements and then conducted analysis of allegor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allegory using depaysement in fashion advertisements would be featured by following points according to its scale: 1.maximization of foreignness depending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2.combination of meanings by deconstructive figuration of objets through synthesis and transformation; 3.expansion of surrealism via paradoxial expressions; 4.combination of contradictory images by dual image expression; 5.speciality of objet sites via isolation of objects. This study hopes that it may contribute to research on allegory in the field of fashion advertisements in a way.
광고를 통해 소비자는 시각적 즐거움을 느끼고 상품에 대한 기억을 오랫동안 갖게 하여 상품 구매를 증진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환상, 엉뚱함, 새로움으로 광고는 소비자를 유혹해야 한다. 알레고리는 상상적 해석이 바탕이 됨으로 현대광고를 해석하는데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또한 차별화된 크리에이티브를 표현하기에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 기법은 무의식의 세계를 해방시켜 낯설음을 통해 시선을 집중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 광고 중 데페이즈망 표현기법 광고 분류 후 알레고리를 분석하였다. 표현기법 분석결과 제품 유형 별로 데페이즈망 표현기법에 화장품 및 향수 광고는 크기의 변화 또는 대상의 고립의 기법을 많이 사용하였고 의류, 악세사리 광고에서는 대상의 고립, 크기의 변화, 이중적 이미지, 역설 등의 순으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 패션광고의 데페이즈망표현 기법의 알레고리는 1.크기변화에 따른 조형적 특성에 따른 낯설음 극대화 2.합성과 변형을 통한 오브제의 해체적 형상화를 통한 의미 결합 3.역설적 표현을 통해 초현실주의 확장 4.이중적 이미지 표현으로 모순적 이미지 결합 5.대상의 고립을 통한 오브제의 장소의 특수성으로 알레고리를 분석되었다. 본 논문을 통해 패션 광고의 알레고리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