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재발성 자궁경부암에서 Paclitaxel과 platinum 복합항암화학요법의 임상분석

Clinical analysis of Paclitaxel and Platinum in Recurrent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0
커버이미지 없음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the toxicity of paclitaxel and platinum in patients with recurrent cervical carcinoma. Methods: Twenty ni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paclitaxel 135-175 mg/m2 and cisplatin 50-75 mg/m2 or carboplatin at AUC 5 every 3 weeks for a maximum of six courses from January 2001 to January 2004. Results: A total 134 cycles with paclitaxel and platinum were administered. Ten patients (34.2%) achieved an objective response, including four complete responses (13.6%) and six partial responses (20.6%). Overall survival was 13.2 months, and the response and non-response group were 23.2 and 8.1 months, respectively (p=0.01). Clinical response according to recurrent sit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48) but, survival was not (p=0.22). Grade 3 or 4 granulocytopenia in 75.9% of patients was developed and one expired due to neutropenic sepsis after first cycle chemotherapy.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paclitaxel and platinum seems relatively well tolerated and has 34.2% response rate in patients with recurrent cervical cancer. Further study for this combination chemotherapy and prognostic factor should be needed.

목적: 자궁내막암과 전암 병변인 비정형 복잡성 자궁내막증식증 조직에서 E-cadherin 및 α,β-caten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자궁내막암의 임상조직학적 예후인자와의 관련시켜 연관성을 조사하여 종양 행동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6예의 비정형 복잡성 자궁내막 증식증과 44예의 자궁내막양 선암의 조직표본을 대상으로 E-cadherin 및 α- catenin과 β-catenin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였고, 자궁내막암의 예후인자와의 연관을 분석하기 위하여 FIGO의 수술적 병기 분류에 따른 자궁내막암의 병기, 병리 조직학적 분화도, 자궁근층 침범정도에 따른 발현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비정형 복잡성 자궁내막증식증과 자궁내막암 병기에 따라 비교한 결과 E-cadherin에서는 병기에 따라 감소된 발현을 보였고 (비정형 복잡성 자궁내막증식증 0/6, I-II기 17/36 (47.2%), III-IV기 5/8 (62.5%); p=0.050), α-catenin에서도 병기가 진행할수록 이상발현의 정도가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다 (비정형 복잡성 자궁내막증식증 0/60, I-II기 10/36 (27.8%), III-IV기 5/8 (62.5%); p=0.035). 또한 자궁근층 침윤여부와 염색상의 발현정도에서는 세 가지 모두 침윤이 있을 때 이상소견이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다[E-cadherin; 침윤(-) 2/14 (14.3%), 침윤(+) 20/30 (66.7%); p=0.001, α-catenin; 침윤(-) 1/14 (7.1%), 침윤(+) 14/30 (46.0%); p=0.010, β-catenin; 침윤(-) 2/14 (7.1%), 침윤(+) 19/30 (63.0%); p=0.000]. 병리 조직학적 분화도에 따른 염색양상은 β-catenin이 조직학적 분화도에 따라 이상발현의 증가를 보였다 (Grade 1 6/26 (23.1%), Grade 2 6/10 (60.0%), Grade3 5/8 (62.5%); p=0.039). 결론: E-cadherin과 α-catenin, β-catenin 의 발현은 자궁내막암과 전암 병변인 비정형 복잡성 자궁내막증식증에서 임상병기, 자궁근층 침윤, 조직학적 분화도와 연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자궁내막암과 복잡성 자궁내막증식증에서 E-cadherin과 α-catenin, β-catenin의 발현이 종양의 예후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