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전망이론효용과 주식프리미엄 퍼즐

Prospective utility and equity premium puzzle

  • 0
커버이미지 없음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new explanation on the equity premium puzzle by combining the myopic loss aversion and prospective utility based on Benartzi and Thaler(1995)’s approach in the Korean stock markets. In a perspective different from existing domestic studies, the existence of equity premium puzzle is verified by figuring out the evaluation periods (assets’holding periods) that makes the investment attractiveness between risky assets (stocks) and risk-free assets (bonds) identical. According to results, the evaluation period in which the prospective utility of risky assets (stocks) and risk-free assets (bonds) becomes the same in the Korean stock markets is verified as 7 to 9 months.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quity premium puzzle through the myopic loss aversion may be explained by that investor’s investment into the risk-free assets (bonds) is due to a short-term and more frequent evaluation periods for risky assets (stocks).

본 연구는 한국 주식시장에 있어서 Benartzi and Thaler(1995)의 접근법에 따라 근시적 손실회피(myopic loss aversion) 경향을 전망이론효용(prospective utility)과 결합하여 주식프리미엄 퍼즐의 새로운 설명을 제공한다. 즉, 국내연구와의 차별적인 새로운 시각에서, 주식프리미엄 퍼즐의 존재 여부를 위험자산(주식)과 무위험자산(채권)의 투자 매력을 동일하게 (무차별하게) 만드는 평가기간(보유기간)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검증결과에 의하면, 한국 주식시장에 있어서 위험자산(주식)과 무위험자산(채권) 각각의 전망이론효용이 동일해지는 평가기간은 7개월~9개월임을 확인하였다. 결국, 투자자들의 근시적 손실회피 경향을 통한 주식프리미엄 퍼즐의 설명은 투자자들이 무위험자산(채권)에 투자하는 것은 위험자산(주식)에 대한 보다 짧고 빈번한 평가기간에 기인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