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창조관광콘텐츠 개발 연구 - 미야자키현 아야정(綾町) 사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Creative Tourism Contents" Development of Cities - The Case Study of Aya-cho, Miyazaki Prefecture, in Japan -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국토계획
- 49(5)
-
2014.08205 - 221 (17 pages)
- 0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creative tourism contents’ as a factor to produce meaningful result of creative tourism and to find the useful ways how they are used for urban planning and reg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ourism contents’ by comparing the components of 3 different tourism types: natural tourism, cultural tourism and creative tourism, and sought to derive specific success factors of certain areas. The case of Aya-cho in Japan is used for detailed analysis of ‘creative tourism contents’ to examine how Aya"s regional strategy of creative tourism was considered successful and what was Aya"s distinctive contents plan for regional development. Active participants as principal agent, Combination of nature and cultural resources like storytelling, Creative milieu, such as community center’s circumstance which harmonize with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and agricultural resources, and Sustainability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system are identified as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ourism contents’ relating Aya-cho in Japan.
최근 글로벌 시장과 경제, 사회전반에 걸쳐 급격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최근 산업의 문화화, 소프트화 현상으로 인해 더욱 부각되고 있는데, 이는 산업의 전반적인 요소들이 소프트화 되는 창의적 문화생산(cultural production)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이병민, 2011, 8). 지금까지 지식과 정보가 성장 동력의 변화를 주도하였다면, 창조경제(creative economy)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부상함에 따라 창조성(creativity)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창조성은 다양한 분야의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관광분야에 있어서도 소위 ‘창조관광(creative tourism)’ 이라고 하는 담론을 활성화시키고 있는 바이다. 창조경제라는 화두가 등장했듯이 우리나라의 관광사업도 지속적인 양적,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새로운 비전과 전략이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김형곤, 2013, 8). 소비자들의 기호가 변화함에 따라 관광 트렌드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비전과 전략들은 창조관광 담론이 직면하고 풀어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창조관광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나, 주로 창조관광의 개념을 비롯한 정책적 접근 등의 거시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질적인 전략과 방향성, 그리고 핵심적인 내용에 해당하는 소위 ‘창조관광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소비자 수요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되어왔음에도 국토와 지역, 도시의 발전과 관련하여 실질적인 실행전략과 관련된 핵심동인에 대해서는 논의가 부족했던 것이다. 특히, 이전 관광 트렌드의 주요 이슈가 관광객 유입 및 이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였던 것에 비해 창조관광은 최근 회자되고 있는 도시재생 등과도 관련되며,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깊은 관련성을 맺고 있다는 점에서 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단순 관광의 차원이 아니라, 문제해결안으로서 ‘콘텐츠’가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될 수 있다. 이때의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은 단순히 생태학적인 개념이나 경제의 지속 가능성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자연자원을 포함한 총체적인 생태계의 원활한 흐름을 요구한다고 할 수 있다(최영국, 2000, 6). 생태계의 원활한 흐름은 지역의 자연자원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선순환을 이루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으며, 지역이 창조적으로 유지되는 일련의 과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국토와 도시의 발전을 논하기 위한 창조적 환경(creative milieu)의 조성과도 관련된다(박은실, 2014, 46). 따라서 본 연구는 창조관광의 담론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창조관광의 성과를 창출하는 동인으로서의 창조관광콘텐츠의 개념적 정의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창조관광콘텐츠가 도시계획 및 지역발전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전통적으로 논의되어오던 자연관광, 문화관광, 창조관광의 구성요소를 상호 비교해봄으로써 핵심 발전요인으로서의 창조관광콘텐츠의 구체적인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창조관광콘텐츠의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일본 미야자키현 아야정(綾町)의 사례를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의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아야정에 관한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산림자원 및 ...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