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뉴스 리터러시가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ews Literacy on Communication and Community Competencies

  • 16
커버이미지 없음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dolescents’ news literacy on communication and community competencies, both of which are the foundation of the citizenship, after constructing the concept of news literacy into several sub-dimensions. In addition, it was tested whether students’ NIE(News In Education) experience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their news literac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news literacy education indirectly. The major findings from a survey of 1,027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had NIE experience outperformed their counterparts in terms of many sub-dimensions of news literacy. Second, most of the sub-dimensions of news liter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communication and community competencies. Specifically, the more the participants use news on a regular basis, understand news content critically after carefully selecting useful news, utilize news purposively(e.g., information-seeking, interest-expanding, and career exploration), or are responsible for their news-sharing(or -producing), the better they were equipped with the competencies of communication and community as citizens.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청소년들의 뉴스 리터러시 역량을 다차원적으로 구성해 각 하위차원이 시민성의 토대가 될 수 있는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더불어,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효과를 간접적으로나마 확인하기 위해 NIE 경험이 뉴스 리터러시 제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중·고등학생 1,0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이를 분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뉴스활용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다수의 뉴스 리터러시 하위차원에 있어서 더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둘째, 뉴스 리터러시의 하위차원들 대부분은 의사소통 역량 및 공동체 역량과 비례 관계에 있는 것이 확인됐다. 즉, 뉴스를 규칙적으로 보고, 유용한 뉴스를 선별해 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며, 환경감시·정보추구·토론을 위해 그리고 관심사·진로 탐색을 위해 뉴스를 활용하고, 뉴스를 공유·생산하는 데 있어 책임감 있는 자세를 지닌 청소년일수록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뉴스 리터러시가 학교교육에서 추구하는 시민성 관련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