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 police officers’ intention to use police drones when new technologies such as drones are introduced in the police fiel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nd present basic data for better adoption and utilization of drones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It was studied through a survey, and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were organized at a national level, including polic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ormer and current positions, to strengthen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urvey.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drone acceptance intention, performance expectation, social influence, hedonic motivation, and technological trust were positively influencing drone acceptance intention, and facilitating conditions were negatively influenced. Looking at the degree of influence through t-value and p-value on the regression coefficient, hedonic motiva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social influence, performance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and technological tru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alternatives were proposed for police drone settlement.
본 연구는 드론과 같은 새로운 기술이 경찰에 도입될 때 드론에 대한 경찰관들의 인식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경찰 조직의 드론 도입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을 택했으며 경찰 교육기관과 전국의 시도경찰청의 경찰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Venkatesh 등이 통합기술수용이론에서 많은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변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기술적 신뢰, 쾌락적 동기가 드론 수용의도에 유의한결과로 나타났으며, 노력기대의 경우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계수에 대한 t-value와p-value를 통하여 살펴본 영향력의 정도는 쾌락적 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다음으로사회적 영향, 성과기대, 촉진조건, 기술적 신뢰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찰 무인비행장치 운용규칙 개정, 전문성 향상, 기체의 다양화, 드론부서 및 인력의 확대 등 경찰 드론 촉진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