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수도권 전문대학의 운영 효율성과 생산성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Changes in Operational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College in the Metropolitan Area

  • 0
커버이미지 없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v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hanges over three years(2020-2022), focusing on 42 colleges in the metropolitan area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bout 32% of all colleges are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but like noncapital colleges, colleges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having difficulty securing admission resources due to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government"s assessment of college"s absoluteness. In order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t is vital to evaluate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college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is study,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was used to quantify the productivity change at these colleges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relative efficacy of college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is study found that CRS, an efficient state of operation for colleges, was the most common in 2021 but the least in 2022. In this study, DMU 6 and 7 were presented as relatively inefficient groups, while DMU 26 was presented as an operational-efficient baseline group due to operational stabilization. Efficiency change (EC) and pure efficiency change (PEC) were shown to be reduced during T2 (2021-2022) compared to T1 (2020-2021).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 to promote regional settlement by establishing a close educational linkage system betwee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olleges, strengthening qualitative indicators of university evalua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between universities.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수도권 전문대학 42개교를 중심으로 상대적 효율성과 3개년(2020-2022년)의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전체 전문대학의 약 32%가 수도권에 밀집해있으나 수도권 소재전문대학들은 비수도권 전문대학들과 마찬가지로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입학자원 확보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정부의 권역별 대학 절대성 평가에서도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수도권 소재 전문대학들의 운영 효율성을 검토하여 경쟁력을 향상시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하여 수도권 소재 전문대학들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였고,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MPI)를 활용하여 이들 대학의 생산성 변화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의 효율적인 운영 상태인 규모수익불변(CRS)상태가 2021년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2022 년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DMU 6, 7은 상대적으로 초효율성이 낮은 집단으로 나타났지만, DMU 26 은 운영의 안정화를 보여 운영의 효율성이 높은 참조 집단으로 제시되었다. T1(2020-2021년)에 비해 T2(2021-2022 년)기간의 효율성 변화(EC)와 순수 효율성의 변화(PEC)는 감소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의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적인 인구감소 추세와 새로운 고등직업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학 재구조화 방안으로 특성화고와 전문대학의 긴밀한 교육 연계 체제 구축을 통한 지역 정착 촉진을 위한 제도 마련, 지역과의 연계성을고려한 입학전형 유형별 선발계획과 지역 정책과의 부합성을 고려한 대학 평가의 정성적 지표 강화, 지역과 대학 간의행정적, 재정적 지원 체계 구축, 마지막으로 지역과 대학과의 동반 성장을 위한 중장기적인 전략적 지원 체계를 견고히 하기 위한 「직업교육법」 제정의 선집행을 제시하였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