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초등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 7
커버이미지 없음

초등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14년에 초등학교 3~4학년을 패널로 선정하여 종단연구를 수행하였다. 2016년에 초등학교 5~6학년이 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 심체적 영역, 학습 역량 등을 평가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3년간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5학년 학생들이 2년간 사용한 6학년 학생들보다 교육적 효과가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3년 동안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면서 학생들의 심체적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교육적 효과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교육적 효과는 학생들의 성적이 높을수록, 디지털교과서를 더 많이 활용할수록, 교사의 스마트교육 역량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digital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the 3~4 graded elementary students were selected and designated as panels in 2014 to conduct the longitudinal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students who were in grade 5 or 6 in elementary school in 2016 to evaluate their effects on cognitive domain, social domain, social domain, psychomotor domain, and learning competency. As a result, 5th grade students using the digital textbooks for 3 years showed higher educational effectiveness than 6th grade students using the digital textbooks for 2 years. In addition, the use of the digital textbooks for three years has been shown to have improved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all areas except students' psychomotor domain. These educational effects were higher for students with higher scores, more times using digital textbooks, and higher teachers' smart education capacit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