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Digital Signage Services
- 한국융합학회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Vol.12 No.12
-
2021.01185 - 196 (12 pages)
- 0
본 연구는 행정안전부의 시범사업 중 하나인 '세종특별시 디지털 사이니지 국가시범사업'을 위한 기초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첨단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플랫폼인 '디지털 사이니지'를 '공공 서비스 콘텐츠 플랫폼'으로 보고 콘텐츠의 배치를 계획하기 위한 전략이 기술우위 공급자 대신 해당 지역 커뮤니티 또는 사용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전제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첨단 기술 기반의 공공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공공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개발 전략에 관해 연구하였다. 또한 동 전략을 쉽게 수립하거나 실행할 수 있도록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툴'들을 설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사이니지 기능'을 '디지털 광고 기능' 뿐만 아니라 '공공 및 문화 서비스 기능'으로 확대, 발전시키는 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최종 목표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혁신적인 활용을 통해 '세종시 상권 활성화 프로젝트'가 창출하는 공공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National Pilot Project on Digital Signage in Sejong Special City', one of the pilot projects initia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is project was an attempt to present the digital signage as a 'public service content platform' integrated with smart technologi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lanning strategy for placing public service contents on digital signage platform should focus on interests of local communities or users rather than high-tech suppliers of digital signage. In consideration of growing needs for smart technology-based public servic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strategy for developing 'public digital signage services'. In addition, 'digital signage service tools' were designed to easily establish or execute the strategy. The aim of this study is developing the strategy to make digital signage a public cultural service platform as well as a digital advertisement tool.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public value creation performance of the 'Revitalisation Project of Sejong City's Commercial Districts', which was possible thanks to the proactive involvement of citizens coupled with progressive utilization of interactive media.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