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ussian-Ukrainian war is having a serious impact on the Ukrainian and Russian economies. According to the economic outlook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and the World Bank, Russia"s GDP was expected to grow by about minus 8.5% in the year after the outbreak of the civil war, and Ukraine"s GDP was expected to decrease by about minus 35%. This rapid economic contraction can be said to have a significant ripple effect on the global economy.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S, EU, Canada, Japan, and Australia, imposed economic sanctions in response to Russia"s Ukraine crisis. Russia appears to be retaliating with economic sanctions. This state of economic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s disrupting trade and investment flows and increasing uncertainty in the global economy. A situation of economic conflict continues, leading to a halt in trade between the parties involved in the dispute and trading partners. This caused a decline in exports and imports and a breakdown in the order of supply chains and international trade. The resulting global trade tensions lead to a decline in investor confidence, uncertainty surrounding the cause, course and outcome of the war and its potential impact on regional and global stability has led investors to take a more cautious and conservative approach to capital flows and investment decisions. This led to the phenomenon of negative growth not only in the country concerned but also in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It is not just the Eurozone that is affected, nor is it only energy that is affected.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entire world economy will be shaken. Korea"s exports may take a hit.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분쟁 당사국 및 무역 상대국 간의 무역 중단으로 이어져 경제적 대립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수출입 감소와 공급망과 국제 무역의 질서를 망가뜨리는 원인으로 작용되었다. 그렇게 형성된 세계 무역 긴장감은 투자자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져 전쟁의 원인, 과정, 결과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지역 및 세계 안정에 대한 잠재적 영향으로 인해 투자자들은 보다 신중하고 보수적인 접근 방식으로 자본 흐름과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당사국은 물론 세계 주요 국가의 마이너스 성장이라는 현상을 나타나게 하였다. 현재 진행 중은 전쟁은 COVID-19 이후 세계 경제 회복을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팬데믹 불황에서 점차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분쟁으로 인해 이 회복 과정에 커다란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생산되어 수출되는 에너지와 곡물의 국제 가격이 상승했다. 에너지 공급 및 생산 중단은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현상에 큰 원인이 되었다. 상승하는 가스, 전기 같은 에너지 가격은 많은 국가에서 생산 비용과 소비자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이렇듯 전쟁은 교전 중인 당사국만의 문제가 아닌 유럽 이웃 국가 및 전 세계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러시아는 자국에 매장되어 있는 석유 및 천연가스의 주요 수출국이며 우크라이나는 유럽 에너지 공급의 중요한 운송 경로 지역이다. 분쟁은 정상적인 에너지 흐름에 대한 불확실성과 우려를 불러일으켜 국제 에너지 시장의 급격한 가격 변동성을 초래했다. 또한 다른 현상 중 하나는 분쟁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곡물 공급이 영향을 받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식량 공급을 위해 이러한 수출에 의존하고 있으며 곡물 공급 불안정은 일부 지역과 국가에 식량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자국의 식량 수급 안정을 위해 일부 수출국에서 수출규제 조치를 취하면서 글로벌 식량 가격 급등과 공급 불확실성이 가장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쟁은 양국의 농업 부문에 미치는 영향과 국제 식량 무역의 혼란으로 인해 세계 식량 위기와 공급 불안정에 원인이 되었다. 특히, 밀, 옥수수, 보리의 주요 수출국이며 이들의 농업 생산 및 수출 중단은 전 세계 식품 공급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곡물에 대한 수출제한으로 세계 최대의 밀 수출국 중 하나인 러시아는 곡물 수출세를 도입하고 자국 내 공급을 보호하기 위해 밀수출에 할당량을 정해놓았다. 마찬가지로 다른 주요 곡물 수출국인 우크라이나는 충분한 국내 식량 공급을 위해 특정 곡물에 대한 수출 쿼터를 부과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급 불안정은 자연스레 세계 식량 수급에 커다란 문제를 야기하였으며 각국은 식량 확보에 대한 우려로 인해 잠재적 공황 구매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제조상품 측면에서는 러시아가 수입이 어려워지면서, 한국, 독일로부터의 수입을 중국으로 전환하여 중국은 수혜, 한국, 독일, 일본은 손실을 경험하고 있다. 2022년 대러 수출감소국 중 자동차‧부품의 수출 감소 영향은 한국이 가장 컸으며, 반대로 중국은 대러 자동차・부품이 수출증가를 주도하고 있다. 2022년 한국의 대러 수출감소의 70.4%가 자동차‧부품에 기인한 반면, 중국은 대러 수출 증대의 21.6%가 자동차・부품이 차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 ...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