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지하공간 개발 동향 조사 연구 - 최근 지하 공간 마스터 플랜과 대심도 인프라 시설을 바탕으로 -
A Study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in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 Based on the recent underground space master plan and deep underground infrastructure -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25(6)
-
2023.12129 - 136 (8 pages)
- 10
Currently, the progressive use of urban underground space to solve various urban problems is gradually expanding. The development of large-depth transport infrastructure, supported by recent advances in excavation technology, is accelerating this trend. The undergrounde large-scale transportation facility can solve the complex traffic situation in urban centres, and the distribution of overcrowded urban space and floating population underground can preserve a comfortable surface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new development space can be created in the existing urban space, and highly efficient compressed urban development can be achieved by making advanced use of land and reducing compensation costs. Overseas, urban underground space utilisation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in specific ways since the mid-1900s. In recent years, Asian countries that lack available land have been actively promoting plans to utilise underground space. For planned and efficient development, laws on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are being enacted and appropriate masterplans are being prepared to create conditions for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This review examines the underground space projects and policies underway in Asian countries such as Hong Kong, Singapore, Japan, and China, as well a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and explores how to create large-depth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It also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policies and research on large deep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and actual planning case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optimal planning directions for the creation of future underground urban spaces.
현재 도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시 지하공간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최근 굴착 기술의 발달에 힘입은 대심도 교통 인프라 개발은 이런 경향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대규모 교통시설의 지하화는 도심의 복합한 교통상황을 해결할 수 있고, 과밀한 지상의 도시건축공간과 유동 인구를 지하로 분산하면 쾌적한 지상환경 보존도 가능하다. 동시에 기존 도시공간에서 신규개발공간을 창출하고 토지의 고도이용, 보상비 절감에 따른 고효울의 압축도시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1900년대 중반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구체적인 방식으로 도시지하공간 활용 프로젝트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가용부지가 부족한 아시아의 국가들의 적극적인 지하공간 활용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계획적이고 효율적인 개발을 위하여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적합한 지침을 마련하여 지하공간의 개발 여건을 조성하고 있다. 홍콩, 싱가포르,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국가와 북미와 유럽에서 등에서 진행중인 지하공간 프로젝트와 정책을 살펴보고 대심도 지하공간 개발 조성 방안을 살펴본다. 또한 국내의 대심도 지하공간 개발관련 정책과 연구 현황, 그리고 실제 계획 사례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미래 지하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최적의 계획 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