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the surface microtextures of quartz grains (SMQ) in soil originating from the Chuncheon granite, Gangwon-do, were reported, and then its characteristics have been interpreted into the processes of soil formation and weathering, The overall properties of soil SMQ in Chuncheon area include some predominant physical microtextures such as angular outline, large/medium/small conchoidal fractures, arcuate/straight steps, and upturned plates, as well as some chemical microtextures due to dissolution/sedimentation within the diagenetic alteration environments, In addition,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oil SMQ is that physical microtextures well known to be formed through freeze-thaw processes, such as breakage blocks and microsteps. The soil SMQ in the Chuncheon Basin is interpreted to be largely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climat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Considering the textural properties of rock-forming minerals in the soil that indicate the level of weathering, the activity of physical weathering was evaluated to be relatively more dominant than chemical weathering. This dominant phenomenon of physical weathering is likely to be induced by soil freezing-thawing processes which can be occurred repeatedly every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systematization and follow-up researches using SMQ data for various environments in the Korean Peninsula.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춘천분지 내에 발달한 춘천화강암 기원 토양을 대상으로 석영입자 표면미세조직(surface microtextures of quartz grains; SMQ)의 특징을 보고하고, 연구지역의 토양화 및 풍화작용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춘천분지 토양 SMQ의전체적인 특징은 매우 고빈도로 나타나는 angular outline, large/medium/small conchoidal fractures, arcuate/straight steps, upturned plates 등 일부 물리적 표면미세조직과 함께, 속성변질환경 내에서 용해/침전작용 등에 의한 화학적 표면미세조직이 동시에공존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에 더해, breakage blocks와 microsteps 등 동결-융해작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리적 미세조직이 다소 우세하게 관찰되는 것이 연구지역 SMQ의 주요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요 결과는 풍화수준을 지시하는 구성광물의 조합 및 조직적 특징과 함께 SMQ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재차 확인된다. 춘천분지 내 토양의SMQ 분석을 통해 관찰된 물리적 풍화 우세 현상은 토양의 동결-융해작용이 매해 반복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기후 조건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춘천분지 내 토양 SMQ는 기후 및 주변 존속 환경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한반도의 지역별 SMQ 정보 체계화와 이를 활용한 후속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