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어떤 의원들이 재선에 유리한 상임위원회에 배정되는가? 정당 충성도, 상임위원회 배정 경험, 선거 안정도를 중심으로

Which Legislators are Assigned to Committees Favorable for Reelection? Focusing on Party Loyalty, Committee Assignment Experience, and Electoral Stability

  • 0
커버이미지 없음

The assignment of legislators to standing committees is crucial in determining their primary areas of activity within policy domains. In addition, lawmakers can lay the foundation for re-election by increasing the vote rate in the next election through the standing committee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committee assignments, focusing on party loyalty, prior committee assignment experience, and electoral stability.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assignment to the standing committee of particularistic good type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found that legislators with higher party loyalty during the first half were more likely to be assigned to this committee in the latter half. Those assigned to the standing committee of particularistic good type in the first half were also more likely to be reassigned to similar committe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party loyalty and prior committee assignment experience was observed. These main findings were consistent across models distinguishing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parties. Contrary to expectations, however, electoral stability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assignment to the committee assignment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discovering that party loyalty and prior experience in standing committee assignment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term, aspects previously overlooked in Korean research, play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committee allocations in the latter half. This finding contributes a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ing legislative behaviors and committee dynamics within the Korean political context.

상임위원회 배정은 정책 영역에서 의원들이 주요 활동 영역이 정해진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의원들은 상임위원회 활동을 통해 차기 선거에서 득표율을 높여 재선에 유리한 기반을 다질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의원들이 재선에 유리하다고 알려진 상임위원회에 배정되는가? 본 연구는 정당 충성도, 상임위원회 배정 경험, 선거 안정도를 중심으로 상임위원회 배정에서 나타나는 동학을 파악한다. 20대 국회 후반기의 특수재 상임위원회 배정 결정 요인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국회 전반기 정당 충성도가 높은 의원일수록 후반기에 특수재 상임위원회에 배정될 가능성이 높았다. 그리고 전반기에 특수재 상임위원회에 배정된 의원들은 그렇지 않은 의원들에 비해 후반기에도 동일 유형의 상임위원회에 배정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정당 충성도와 상임위원회 배정 경험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수당과 소수당을 구분한 모형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선거 안정도는 특수재 상임위원회 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국내의 기존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정당 충성도와 전반기 상임위원회 배정 경험이 후반기 상임위원회 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한국 정치 맥락에서 의원의 입법 행태와 상임위원회 배정의 동학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