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COVID-19 전·후 기능적 생활권 변화 및 통행거리 영향 요인 분석 : 생활이동 빅데이터와 Community Detection을 활용하여
Analysis of Functional Living Zones Chang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ravel Distance Before and After COVID-19 in Seoul, Korea : Using Mobile Phone-based Mobility Bigdata and Community Detection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국토계획
- 59(2)
-
2024.0473 - 92 (20 pages)
-
DOI : http://dx.doi.org/10.17208/jkpa.2024.04.59.2.73
- 7
Since 2020, COVID-19 has triggered discussions on small-scale living zones. However, the discussions on community plan considering travel distance after COVID-19 are insuffici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actual living zones and travel distances using community detection algorithms, which have been used to analyze living zones, as well as the mobile phone location-based travel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functional living zones in January 2022 compared to January 2020. In other words, since citizens’ travel is highly dependent on the physical infrastructure, the community plan, which can affect infrastructure supply policy, is important for developing a sustainable compact city. Second, the current community plan does not consider the demand and supply of commuting. Third, as travel derives different functional living zones, the community plan needs to consider supplying infrastructure for travel purposes. Fourth, a leisure travel distance gap was found between functional living zones. Therefore, planning an equitable development by lowering citizens’ dependence on external living zones through supplying infrastructure is necessary. These findings and discussions suggest that community detection and mobile phone location-based data can be strategically introduced to community plans as a decision-making tool.
본 연구는 Community Detection과 모바일폰 위치 기반OD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시민의 생활권을 도출하고, 현재 생활권계획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통행거리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압축도시계획의 국내 적용 방안과 생활권의 균형 발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본 연구의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연구가 COVID-19 이후 생활권 축소를 주장하고있지만(Chen and Steiner, 2022; Sharma, 2020), 물리적 인프라가 변화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회적 변화와 정책만으론 시민의통행 반경은 변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Community Detection을 활용하여, 2020년 이후 COVID-19 발생 경과에 따라 시민들이 통행 반경에 실질적 변화가 있었는지포착하고자 하였다. 둘째, 최신의 통행 데이터를 활용하여 거주민의 통행에 영향을미치는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COVID- 19 이후 시민의 통행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요인을 통행 목적별로 파악하여 포스트 펜데믹(post-pandemic) 시기 압축도시의 적용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셋째, 생활권계획은 지역의 균형 발전을 지향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생활권을 설정하고 균형 발전을 모니터링할 방안에 대한 논의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생활권 균형 발전의 측면에서 기능적 생활권 간 출발 통행거리의 차이를 확인하고, 생활권계획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