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지역유형과 탄소배출권 거래 가격을 고려한 국유재산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the Valuation Method of State-owned Property Considering Regional Type and Carbon Emission Allowance Price

  • 7
커버이미지 없음

State-owned property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source of government revenue and public good; however, its inaccurate economic valuation limits its efficient utilization. In particular, the economic value of state-owned property with high environmental value, such as forests, remains unrecognized; consequently, such property cannot contribute to the national goal of achieving carbon neutrality and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valuation method for state-owned property that considers urban types. To this end, we conducted spati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official land price and carbon emission permit trading price for Seoul and Gangwon-do.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official land price is more suitable for urban areas, while the 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carbon emission permit trading price is more suitable for non-urban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the valuation method for state-owned property should be differentia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region. Second, the economic value of state-owned property with high environmental value, such as forests, should be determined. Third, to improve the efficient use of state-owned property,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s management and operation systems, as well as the methods used to determine its economic value. By proposing improvements that can be made to valuation method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t use of state-owned property and to the national goal of achieving carbon neutrality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국유재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도심지의 비율이 높은 도시형과 산림의 비율이 높은 산지형으로 지역을 구분하여 가치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국유재산의가치산정을 목표로 하였고, 인구수, 사업체수, 도로와의 접근성, 녹지면적과 같은 지표를 활용하였다. 우선, 앞서 언급된 지표들과 현재 국유재산 가치산정의 근간이 되는 공시지가 혹은 지역의환경성을 대표하는 환경가치 사이에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해 상관성을 판단해 보았다. 이때 환경가치는 탄소배출권거래가격을활용하여 가치평가의 범용성을 높였다. 두 번째로, 상관성평가결과를 토대로 알맞은 가치평가방식을 선정하였고, 회귀모형을 통해 지역특색을 고려한 국유재산 가치평가 회귀식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제시되는 국유재산의 가치와 환경적 가치를 반영한 국유재산 가치를 비교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휴부지를 재발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토지가치의 가시적인 부분에만 한정된 가치평가에서 더 나아가 비가시적인 요소인 환경조절기능을 포함한 가치평가가 이루어져 체계적인 국유재산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국유재산의 가치평가 방법을 개선하여 국유재산의 활용에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