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업체의 흡수능력, 지식창출, 지적자본 및 경쟁우위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Supplier's Absorptive Capacity, Knowledge Creation, Intellectual Capital and Competitive Advantage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Vol.21No.3
-
2023.011 - 14 (14 pages)
-
DOI : https://doi.org/10.14400/jdc.2023.21.3.001
- 0
변기업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으로 경쟁우위를 창출하고자 한다. 이에,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끊임없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기업의 혁신능력을 강화하도록 촉구하며 또한 지식창출의 변화가 매우 중요한 역할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자원기반 관점을 바탕으로 지적자본과 흡수능력 프레임워크가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한국 중소기업의 샘플을 통해 지식흡수능력, 지식 창출, 지적 자본 및 내/외부 소스의 경쟁 우위 사이의 연계를 수행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15개 산업에서 106개의 공급업체의 설문이 수집되었다. 연구 모델은 SEM(구조 방정식 모델링)을 채택하고 AMOS 22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가설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흡수 능력이 공급업체의 경쟁 우위를 키우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의미한다. 또한, 지적 자본은 공급업체의 지식 재고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것이 경쟁력에 대한 흡수 능력 영향을 크게 강화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향후 연구는 연구 모델을 다양한 국제적 환경이나 다국적 기업에서 검증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
This raises the question of how competitive advantage can be created, prompting firms to enhance their capacity for change. In this context, the role of knowledge creation becomes increasingly vital.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ole of intellectual capital and how to improve knowledge cration ability through absorptive capacity framework. It examines the links among knowledge acquisition, learning of new knowledge, knowledge creation, intellectual capital, and competitive advantage, drawing from both internal and external sources. The study focuses on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 firms in Korea, with data collected from 15 industries, totaling 106 responses. The research model employ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utilizes AMOS 22 for analysis. As anticipated,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The study provides robust evidence that absorptive capacity is a pivotal factor in cultivating suppliers' competitive advantage. Furthermore, it posits that intellectual capital should be viewed as a criucial component of suppliers' knowledge stock, significantly enhancing the impact of absorptive capacity on their competitive edge. Future studies should aim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in different international settings or across multinational corporations to enhance its generalizabulit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