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understand the causes and mechanisms of coastal erosion resulting from imbalances in sediment supply and loss, it is essential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materials and the processes of sediment transport. Sedimentological research, as well as coastal geological studies, have been significantly lacking, particularly in the Hwajinpo, Songjiho and Cheonggan beaches of Goseong County, Gangwon Province. This study aims to test transport hypotheses and present actual sedimentological evidence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features of surface microtextures of quartz grains (SMQ) in beach sediments. Among the various SMQs, outlines and V-shaped percussion cracks are recognized as the most significant, known to respond sensitively to environmental changes during the sediment transport process. These SMQs exhibit a clear tendency to change as the transport distance increases from Cheongjincheon stream, which directly flows into Cheonggan beach. This trend is consistent across all three beaches, and the observed direction aligns with the estimated longshore current direction along the East Coast. Consequent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MQ characteristics can serve as a practical tool for interpreting the direction of longshore current.
퇴적물 공급과 유실의 불균형으로 야기된 연안침식의 원인과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안 구성물질의 특성과 퇴적물 이동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동안 퇴적학적 연구는 물론 연안 지질 관련 연구가 극히 미진했던 강원도 고성군의 화진포, 송지호, 청간 해빈을 대상으로 해빈 퇴적물의 석영입자표면미세조직(SMQ; suface microtextures of quartz grains)의 특징변화를 이용하여 운반과정 가설을 테스트하고 이에 대한 실제 퇴적학적 증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양한 SMQ 중 가장 주요하게인식되고 있는 윤곽선(outline)과 V-형 충돌흔(v-shaped percussion cracks)은 퇴적물 운반과정에서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미세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이 SMQ들은 청간 해빈으로 직접 유입하고 있는 천진천에서 하류 방향으로 운반 거리가 증가함에따라 변화하는 경향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이러한 경향성은 세 해빈 모두에서도 동일한 방향으로 나타나며, 그 방향은 현재까지 연구를 통해 추정된 동해안의 연안류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SMQ 특성을 통해 실질적인 연안류의 방향을 해석하는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