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of the most obvious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apanese Zen Rinzai School is the fact that the practitioner aims the awakening by passing not only one, but several gong.an (j. kōan). This specificity is the mark of the so-called “Hakuin-Zen”, which is the only type of Zen remaining in Rinzai branch in Japan today. This article is a reflection on the possible origins of this phenomenon and examines especially the hypothesis that it goes back to the doctrinal background of the Daitō branch who emerged at the end of the Middle Âge. As it was showed in many research – and notably reconfirmed by the study of the recently discovered texts of the Shinpuku-ji temple - during the Kamakura period (1185~1333) all the different types of Zen developed in Japan had in common the integration of the so called scriptural teachings. Daitō, and after him his branch, broke with this attitude and advocate the exclusive use of the Zen approach. Consequently, the practice focused exclusively on kōan - and a new way of handing them – emerged. About many other characteristics, the necessity to pass several kōan and a kind of systematization can be noticed. This is most probably in this environment that the beginning of a movement culminating with the creation of the Hakuin-Zen should be sought
현대 일본 임제종의 가장 분명한 특징 중 하나는 수행자가 하나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공안을 통과함으로써 깨달음을 목표로 한다는사실이다. 이러한 특수성은 오늘날 일본 임제종에서는 소위 “하쿠인(白隱) 선”으로 유일하게 전하는 특징이다. 이 글은 이 현상의 가능한기원에 대한 반조며, 특히 중세의 말기에 등장한 다이토(大燈) 파의 교리적 배경으로 소급하는 가설을 고찰한다. 신푸쿠지(眞福寺)에서 최근 발견된 문헌에 의한 많은 연구에서 보여지듯이, 가마쿠라 시대(1185-1333년)에 일본에서 발전된 다양한 선문(禪門)들은 이른바 경전적 통합성을 가지고 있었음을 재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이토 국사와 그 뒤를 잇는 지파들은 이러한 태도를 격파하고 선에 대한 배타적인 접근법을 옹호했다. 결과적으로, 공안에만 초점을 맞춘 관행이 생겨났고, 그들을 다루는 새로운 방법이 생겨났다. 다른 많은 특징들에 대해서는, 몇몇 특정공안을 통과해야 할 필요성과 일종의 체계화가 눈에 띈다. 이러한 많은 요인이 하쿠인선의 탄생으로 절정에 이르는 운동의 시작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