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元代 법률공문의 인용문과 인용표지 ‘該’ 동사의 용법 고찰

A Study on The Usage of the Quoting Verb ‘gai(該)’ and Quotations in Legal Documents of the Yuan Dynasty

  • 0
커버이미지 없음

The Yuan dynasty used a system of single-act statutes issued in the form of official documents as its basic legal framework. The official documents that served as the basis for this system had a cumulative structure. The Yuan legal codes, such as the Yuandianzhang, were compiled by collecting and editing official documents that served as laws. Quotations in the Yuan legal code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ir creative factors: ①structural quotations, ②content-related quotations, ③editorial quotations. In addition, quotations can be divided into unmarked quotations and marked quotations based on their formal features. While unmarked quotations are not the primary focus of this research, they are the most prevalent type of quotation in the Yuan legal code, particularly in relation to structural quotations used to maintain the code"s structure. Quotations with quotation marks are commonly used when citing previously issued official documents. There are also cases where nominal quotation marks such as ‘一款’ and ‘節文’ are used without quotation verbs. However, in the majority of cases, the verb ‘該’ is used as a quotation mark. The basic meaning of ‘該’ as a quotation verb is derived from the meaning ‘to have’ or ‘to possess’ in the ‘備’ sense. Although it can form compound words such as ‘節該’ and ‘譯解’, it also has a strong independent character as a verb.

원대는 공문으로 시행되는 단행법을 기본 법체계로 하며, 그 근거가 되는 공문은 누적식 구조를 갖는다. 이때 법규가 되는 공문들을 모아서 편집한 것이『원전장』 등과 같은 원대 법전이다. 원대의 법전에는 원대 법률공문이 갖는 이러한 단행법 체계와 누적식 구조 때문에 많은 인용문이 등장하게 된다. 원대 법전에서 인용문은 생성적 요인에 따라 ①구조적 인용, ②내용상의 인용, ③편집적 인용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또 인용문을 이끄는 형식적 특징에 따라 무표지 인용문과 유표지 인용문으로 나눌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지는 않지만, 인용의 출현 자체는 무표지 인용문이 다수를 이루는데, 이것은 특히 생성적 측면에서 구조적 인용에 주로 관련된다. 유표지 인용은 흔히 기존에 시행된 공문을 인용할 경우에 활용된다. 인용의 표지로는 ‘一款’, ‘節文’ 등 명사적 표지만 사용되는 소수 사례가 있으나 대다수는 동사 ‘該’가 인용표지로 나타난다. ‘該’가 출현하는 상황은 소수 사례까지 포함하여 모두 24 사례로 나눌 수 있다. ‘該’가 인용동사로 사용되는 기본 의미는 ‘갖추다(備)’ 의미항목에서 유래하였으며, 節該, 譯解 등 복합어를 구성하는 경우들이 있으나 단독 동사로서의 성격도 강하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