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기억과 장소 정체성 그리고 이데올로기
The Urban Memory, Place Identity, and Odeology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8(2)
-
2024.06179 - 211 (33 pages)
- 5
The essay is a study on ‘the urban memory, place identity, and ideology’ by selecting 18 texts that clearly reveal place identity and its changes, focusing on Incheon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o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1900-1948). Through the text, it can be seen that Incheon between 1900 and 1945 had a place identity as an erotic consumption pleasure space, a strategic beautification space produced to transplant the ruling order of the Japanese Empire, and a negative magic illusion space that conceals the truth. However, for those who realized the contradictions of the capitalist system and the importance of class struggle as a labor agent, Incheon became a space with existential interiority rather than a space of phantasmagoria. Labor subjects experienced their work sites (places) such as "factories and docks" without active and conscious deep thought, but as the places became filled with meaning and they recognized that they were where they belonged, the places became existential. It has internality. At this time, the place became a part of the labor subjects and they also became a part of the place. Place identity is created when a space with existential interiority is socially structured. When solidarity and integration are achieved through workers" deep intersubjective connection, the place called Incheon acquires a place identity with existential interiority. It is now advancing into an international city at the center of Northeast Asia, equipped with Incheon Por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various industrial logistics complexes, tourism and leisure complexes, and new residential,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Incheon"s place identity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and is still forming a new identity. In addition, a single place can have multiple place identiti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social environment, and various experiences and attitudes. In the 21st century, images are created and chang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YouTube and OTT as well as legacy media, TV, and movies. We can also create preconceptions through our direct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indirectly through media, and through online interactions. However, through empathizing with various place identities and making efforts to restore the originality of objects and places, we will be able to form and exp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existence, personal identity, and place identity.
본 논문은 한말부터 해방 직후(1900년~1945년)까지 인천을 중심으로 장소 정체성과 그 변화가 잘 드러나는 텍스트 18권을 선정하여 ‘도시의 기억과 장소 정체성 그리고 이데올로기’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텍스트를 통해 1900-1945년 인천은 에로스적 소비 향락공간, 일본 제국의 통치 질서를 이식하려고 생산한 전략적 미화 공간, 진실을 은폐하는 부정적인 마술환등공간으로서 장소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과 노동 주체로서 계급투쟁의 중요성을 깨달은 이들에게 인천은 판타스마고리아 공간이 아닌 실존적 내부성을 지닌 공간이 되었다. 노동 주체들은 적극적이고 자각적인 깊은 생각 없이 ‘공장 ‧ 부두’와 같은 자신의 노동 현장(장소)을 경험했지만, 그 장소가 의미로 가득 차게 되고 본인들이 속한 곳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면서 장소는 실존적 내부성을 지니게 되었다. 이때 장소는 노동 주체들의 일부가 되고 그들도 장소의 일부가 된다. 실존적 내부성을 지닌 공간이 사회적으로 구조화될 때 장소 정체성은 만들어진다. 노동자들의 깊은 상호주관적 연계를 통해 연대와 통합이 이루어질 때 인천이라는 장소는 실존적 내부성을 지닌 장소 정체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근대성이라는 이데올로기를 만드는 동인은 단순히 자본주의의 발달, 문명의 기계화에서 비롯하지 않는다. ‘자연에 대한 옛날의 전통적 경험틀’과 ‘문화적 형식을 통해 이루어진 상징적 화해라는 신화적 인식틀’을 가지고 테크놀로지와 도시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질 때 비롯된다. 각성된 의식을 가지고 상품의 원래 사용가치를 회복할 때, 다시 말해 인간과 장소가 본래의 의미를 되찾을 때 물신자본주의 욕망과 같은 집단적 소망 이미지를 극복하고 자본주의 신화에서 벗어남으로써 긍정적 근대 이데올로기를 가질 수 있다. 이제 인천은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 각종 산업물류단지, 관광레저단지, 새로운 주거‧교육‧문화 시설을 갖춘 동북아시아 중심 국제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개인, 사회적 환경, 각각의 다양한 경험과 태도에 따라 인천은 다양한 장소 정체성을 가질 수 있었고 그 역시 끊임없이 변화되어 왔으며 지금도 여전히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중이다. 21세기는 레거시 미디어, TV, 영화뿐 아니라 유튜브, OTT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장소 이미지가 생성, 변화되어간다. 우리의 직접적 관찰이나 경험, 매체를 통한 간접적 경험, 온라인 안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장소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잘못된 장소 이미지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장소 정체성을 공감하고, 사물과 장소의 본래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통해 우리는 인간의 실존과 개인의 정체성, 장소 정체성의 관계를 형성하고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