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verage life expectancy is increasing due to low birth rates, aging,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the productive population is decreasing due to population aging. In this study, we classified the types of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wage earners and analyzed related influencing factors to encourage older peop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and continue their jobs. For this purpose, 2,663 elderly wage earners were sampled using personal data from the 25th year of the Korea Labor Panel Survey (2022).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plu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3step.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atisfaction potential profile of older workers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four groups (dissatisfied with personnel/welfare group, moderate job satisfaction group, high job satisfaction group, and satisfactory working conditions group). Second, age, gender, and education variables, which are personal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job satisfaction. Third, employment status, working hour type, working hour regularity, and business location variables corresponding to working conditions factor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among the subjective perception factors, the variable of suitability between current work and skill level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wage earners are as follows: First,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older workers, it is necessary to expand internship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work experience and aptitude. Second, there is a need to activate vocational training that can improve the job skills of the elderly in accordance with technological changes. Third, there is a need to expand good part-time jobs so that seniors can maintain stable employment. Fourth, the government needs to consider how personnel evaluations and career development systems can be applied to compani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older workers and maintain their jobs..
저출산・고령화, 과학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있으나, 인구 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의 적극적인 노동시장 참여 및 일자리 지속을 위하여 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일자리 만족도 유형을 분류하고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노동패널조사 25차년도(2022년) 개인용 자료를 활용하여 고령 임금근로자 2,663명을 표집하였다. Mplus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고 R3step을 활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 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잠재프로파일은 총 4개의 집단(인사・복지 불만족 집단, 직무만족 중 집단, 직무만족 상 집단, 근무여건 만족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개인적 요인에 해당되는 연령, 성별, 학력 변인이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여건 요인에 해당되는 종사상 지위, 근로시간 형태, 근로시간 규칙성, 사업체 위치 변인이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관적 인식요인 중 현재 하는 일과 기술수준 적합도 변인이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령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제언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 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근무경력과 적성을 고려한 인턴십 프로그램을 확대가 필요하다. 둘쨰, 기술변화에 따라 고령자들의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훈련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고령자들의 일자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좋은 시간제 일자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고령 근로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일자리를 지속하기 위한 인사평가, 경력개발제도 등이 기업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고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