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취업 준비 대학생이 지각하는 직업가치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직업이미지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Job Valu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Analysis of the Impact on Career Decision Level: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mag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4
커버이미지 없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job value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affect their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The university period is critical for individuals to understand themselves as adults, form proper values, and gain experienc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career decis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a model was designed to show how job values influence career decision levels. Job imag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moderates it. A survey targeted university students aged 20 or older preparing for employmen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region, Yeongnam region, and Honam region. Out of 325 questionnaires, 249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non-responses and insincere respons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job values significantly directly impact career decision-making through job imag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fluence of job image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It was also confirmed that job image does not mediate the impact of job values on career decision-mak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job values and job image influence career decision-ma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Therefore, it is recommended as a policy implication to enhance the ability to choose a career based on information search, aptitude, and interest.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 준비 대학생이 지각하는 직업가치가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대학생 시기는 성인으로서의 자신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고 경험을 쌓아가는 과정으로 진로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시기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업가치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두 변인의 관계에서 직업이미지는 매개하며, 사회적지지는 조절한다는 모형을 설계하였다.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에서 취업을 준비하는 20세 이상 대학생을 목적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표본 325부 중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49부의 설문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가치는 직접적으로 직업이미지를 통해서 진로결정수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업이미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가치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이미지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취업 준비 대학생의 직업가치와 직업이미지가 진로결정 수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진로에 관한 정보탐색과 적성, 흥미에 따라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점을 정책적인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