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국가지식-학술정보

지속가능발전교육 중 고령화 사회 이슈를 중심으로 한 교육연극 교수·학습안 개발 과정 연구: 질적 문화기술지 방법 중심으로

Focusing On Aging Society Issues Amo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Educational Theater: Focusing on a Qualitative Ethnography Method

DOI : http://dx.doi.org/10.18015/edumca.18.3.202408.221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tudy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educational theater focusing on social solution agenda (aging social issues) amo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field not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participants in cultural technology intellectual research. The study is a case of educational theater (D.I.E.) conducted for 5th graders of K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for a total of 10 sessions in each class from May to August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3. The class editions and activities that recorded the immediate response of about 150 students (30 students each, 5 minutes on the same subject)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through photos and video data, and the meanings approached by moral virtue and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agenda were explored. As a result of the study, 1) moral virtu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 artistry and education linked to life 3)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theater as social-solving art education as national sustainable education 4) the above-mentioned problem consciousness teaching and learning composition. Finally, an accurate educational theater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for an aging society solution through field note analysis was suggested, and limitations of research and future suggestions wire presented.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 중 사회해결형 아젠다(고령화 사회 이슈)를 중심으로 한 교육연극 교수·학습과정안을 연구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문화기술지적 연구참여자 간 필드 노트를 질적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는 인천시에 소재한 K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2023년 1학기 중 5월부터 8월까지 각 반에서 총 10차시에 걸쳐 시행한 교육연극(D.I.E.) 사례이다. 150여 명 학생(30명씩 같은 주제 5분 반)들의 즉각적인 반응을 기록한 수업 판서 및 활동들을 사진과 영상자료를 통해 수집·정리하였고, 도덕적 덕성과 국가지속가능발전 아젠다로 접근된 의미들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1) 아동·청소년기 도덕적 덕성(도덕적 상상력), 2) 삶과 연계된 예술성과 교육성, 3) 국가지속가능교육으로 사회해결형 예술교육으로 교육연극의 가능성 4) 상기한 문제의식에 관한 교육연극 교수·학습구성이다. 마지막으로 필드 노트 분석을 통한 고령화 사회 해결방안을 위한 적확한 교육연극 교수·학습과정안을 제언하였고, 연구의 한계 및 미래 제언을 제시하였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