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특수아동을 위한 교육실행에서 장애인교육법(IDEA)-인간작업모델(MOHO)간의 공통된 핵심원리 탐색

Exploring the Alignment between MOHO and IDEA Principles: A Qualitative Analysi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 3
커버이미지 없음

연구는 인간 작업 모델(MOHO)과 장애인 교육법(IDEA)의 여섯 가지 원칙 간의 공통된 핵심원리를 도출하여, 다학제간 접근을 통한 특수교육 실행 활성화의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학문적 특수교육 접근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 작업 모델(MOHO)과 장애인 교육법(IDEA) 원칙 간의 연결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인간작업 모델(MOHO), 장애인 교육법(IDEA) 원칙 및 작업치료사와 특수교육교사 간의 협력에 대한 학술 문헌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주제 분석을 통해 반복되는 주제와 관계를 식별하여 인간 작업 모델(MOHO)의 이론적 기초와 장애인 교육법(IDEA)과의 공통된 핵심원리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치료의 핵심이론인 인간작업모델이 특수교육 활동에 접목되는 원리를 이해함을 지원하여, 특수교사-재활치료사들 간의 원활한 협력과 의사소통을 강화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study seeks to examine the alignment between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MOHO) and the Six Principles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utilizes a qualitative methodology that entail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to establish connections between MOHO an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principles, with a specific focus on collaborative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s. Data collection involves examining academic literature on MOH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principles, and the partnership between occupational therapis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matic analysis is employed to identify recurrent themes and relationships,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MOHO and its compatibility with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MOHO)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active engagement and meaningful participation in inclusive education. It promotes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ce and self-determination in occupational performance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Moreover, MOHO stresses the importance of offering tailored support and adjustments for these childre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