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청소년의 사이버 괴롭힘에서 개인의 부정적 신념과 가해동조행동 및 방관행동 간의 관계: 집단의 부정적 신념과 집단의 도덕적 이탈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Negative Beliefs on Follower and Outsider Behavior in Cyberbullying among Adolescents: Moderating Effect of the Collective Negative Beliefs and Moral Disengagement

  • 0
커버이미지 없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social cognitive theory to understand and explore ways to reduce follower and outsider behavior in cyberbullying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peers. Accordingly,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negative beliefs and moral disengagement, which are social cognitive factors,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negative beliefs, follower and bystander behavior in cyberbullying of adolesc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760 adolescents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were surveyed using SPSS 24.0 and SPSS PROCESS macro 4.2(model 2). The study found that group moral disengagemen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negative beliefs on follower and outsider behavior, whereas group collective negative beliefs had no moderating effect. In other words, adolescents who perceived cyberbullying as a high level of moral disengagement from their peer groups had higher levels of follower and outsider behavior because they viewed cyberbullying less negative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follower and outsider behavior of adolescent cyberbullying from both individual and group perspectives, and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measuring personal and collective negative beliefs and collective moral disengagement in response to cyberbullying situations.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measurement of the variables and the search for other moderator variable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이론의 관점에서 개인과 또래집단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이버 괴롭힘에서 나타나는 가해동조행동 및 방관행동을 이해하고, 그 감소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청소년의 사이버 괴롭힘에서 개인의 부정적 신념이 가해동조행동 및 방관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인지요인인 집단의 부정적 신념 및 집단의 도덕적 이탈이 조절자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760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SPSS 24.0과 SPSS PROCESS macro 4.2(model 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의 부정적 신념과 가해동조행동 및 방관행동 간의 관계에서 집단의 도덕적 이탈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집단의 부정적 신념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사이버 괴롭힘에 대해 또래집단이 도덕적으로 이탈된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청소년들은 사이버 괴롭힘을 덜 부정적으로 생각할수록 가해동조행동 및 방관행동 수준이 높았다. 본 연구는 사이버 괴롭힘에서 청소년들이 보여주는 가해동조행동 및 방관행동을 개인과 집단 맥락의 상호작용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사회인지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고,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 맞춰 개인 및 집단의 부정적 신념, 집단의 도덕적 이탈을 측정함으로써 변인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변인 측정 및 다른 조절 변인의 탐색 등과 관련된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추후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