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전세대출 채무불이행 위험 추정

Estimation of risk of default on Jeonse loan

  • 0
커버이미지 없음

Amid the increase in household debt and the recession in the housing economy, damages related to tin Jeonse and Jeonse fraud are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need for discussion on improving the Jeonse and housing finance systems emerged, and the risk of default on Jeonse loans was estimated to protect tenants who are financial consumers. For this purpose, we theoretically examined Jeonse and financial structures.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on 595,285 Jeonse loans handled by 14 domestic financial institutions between January 1, 2021 and December 31, 2022. Based on this, related financial policies were proposed. The main analysis results show that variables such as credit score, unemployment rate, rental deposit ratio, metropolitan area, and loan-to-income ratio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 level. 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s of apartment status and landlord corporation status were not significa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loan-to-income ratio variable, the higher the ratio, the relatively and absolutely larger the debt that the borrower must bear, and accordingly, the debt repayment ability decreases, increasing the risk of defa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atio of Jeonse loan to Jeonse deposit, the smaller the amount of equity funds, and the higher the risk of defaul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relatively high-risk group.

가계부채 증가세 속에 주택경기 침체에 따라 깡통전세, 전세사기 관련 피해 급증으로 전세 및 주택금융 제도개선에 대한 논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에 금융소비자인 임차인 보호를 위해 전세대출 채무불이행 위험을 추정했다. 이를 위해 전세, 금융구조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했고, 국내 14개 금융기관에서 2021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사이 취급한 전세대출 595,285건을 대상으로 콕스 비례위험 모형을 활용하여 생존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련 금융정책을 제언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보면 신용점수, 실업률, 전세대출 비율, 수도권 여부, 소득 대비 대출금 비율 변수 등이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파트 여부, 임대인 법인여부 변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소득 대비 대출금 비율 변수의 경우 동 비율이 높을수록 차주가 부담해야 할 채무가 상대적・절대적으로 크고 이에 따라 채무상환 능력이 하락하여 채무불이행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세보증금 대비 전세대출금 비율이 높을수록 자기자금 규모가 작아 상대적으로 고위험군의 특성을 지녀 채무불이행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