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중소기업(SME) 국제화를 위한 디지털 서비타이제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Servitization Strategies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0
커버이미지 없음

Digital Servitization (DS) refers to the process of creating and delivering service value through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 (Io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It has become a key agenda in the industrial sector. While most studies focus on large manufacturing firms, DS also offer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opportunities to enhance customer value, exp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enter global markets. Particularly, DS helps SMEs overcome domestic market limitations and expand internationally.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DS facilitate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MEs by examining digital service maturity and ecosystem involvement. To achieve this, a multipl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domestic SMEs undergoing DS-driven internationaliza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SMEs need to enhance digital capabilities and actively engage in ecosystems to accelerate their international expansion. First, companies must assess their digital maturity and invest in digital transformation. They should continuously improve digital services to gain market acceptance. Once digital maturity is achieved, companies can offer mass-customized digital services to address diverse global customer needs. Second, SMEs must create knowledge synergies through collaborations with ecosystem partners. To achieve this, they need to coordinate and institutionalize partnerships, fostering simultaneous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his leads to harmonized interactions and co-creation of value within the ecosystem. While this study identifies DS strategies that increase international sales through a multiple case study, future research should conduct quantitative studie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se strategies on SMEs" business performance.

디지털 서비타이제이션(DS: Digital Servitization)은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 가치를 창출·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산업계에서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DS는 주로 대규모 제조 기업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왔으나, 중소기업(SM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에도 고객 가치 향상, 기술 역량 확장,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중소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는 데 DS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DS가 중소기업이 국제화를 진행해 나가는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중소기업이 디지털 서비스 성숙도를 높이고, 생태계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국제화를 어떻게 추진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DS와 국제화 과정 중에 있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다중사례 연구(multiple-Case Study)를 수행했다. 몇몇 사례들을 분석해본 결과 중소기업이 국제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디지털 역량 고도화, 적극적인 생태계 참여 등의 DS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기업의 디지털 역량 고도화를 위해 기업의 디지털 수준을 객관적으로 인식·평가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무엇보다 시장이 자사의 디지털 서비스를 받아들일 때까지 디지털 서비스를 끊임없이 개선·보완해 나가는 등 디지털 혁신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개선과 혁신으로 디지털 성숙도가 향상되고 고객에게 해당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정착되는 시점에 맞춤형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여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고객의 이질성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태계 내 다양한 개체들과의 공동 개발을 통해 생태계의 지식 창출 시너지를 촉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생태계 참여자들의 원활한 조정·통합을 위한 협력의 기반을 제도화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생태계 참여자들의 경쟁과 협력(Coopetition)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태계 내 공동의 가치 창출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중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해외시장에서의 판매 증대를 이끄는 DS 전략을 귀납적으로 식별하고자 하였다. 다만 이러한 전략이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향후 인과관계 기반의 정량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을 것이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