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복합적인 운동이 신경가소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체계적 고찰

Effect complex exercise program on the expression of neuroplastic factors: systematic review

  • 3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운동 중재가 신경가소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우리는 scholar, DBpia, KISS를 사용하여 신경가소성, 운동 및 다양한, 신경가소성 및 운동'이라는 용어로 검색하였고, 무작위 대조군 실험(RCT)만을 고려 대상으로 하였다. 선별된 322개의 논문 중 7개가 포함 기준을 충족하였고, 샘플 크기는 20명 미만에서 40명까지 다양했으며, 연령대는 40세에서 65세 이상이었다. 일곱 개의 연구 모두 다양한 운동 중재로 인해 대상자의 신경가소성이 개선되었다고 보고되었다. 다만, 일곱 개의 RCT가 제공한 증거의 질적인 의미는 높았지만, 샘플 크기가 작았음을 인정하고자 한다. 차후 연구에서 적절한 샘플 사이즈를 증가시키고 특정한 대상자의 신경가소성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various exercise interventions on neuroplasticity expression. We searched scholar, DBpia, kiss, using the terms: neuroplastic, exercise AND various, neuroplasticity and exercise. Onl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 were considered. Out of 322 articles screened, 7 fulfiled the inclusion criteria. Sample sizes varied from under 20 to 40 participants ranging in age from 40 to over 65 years. ALL of the seven studies reported improvement in neuroplasticity due to various exercise intervention. The quality of the evidence provided by the seven RCTs was high, but most of them were small sample sizes. Thes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single and neuroplasticit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