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tler’s moral philosophy is perhaps best known for its detailed depiction of the faculty of conscience. Conscience, he argues, is the supreme moral principle in humans and should be heeded at all times. There have been criticisms of his doctrine with one challenging his naturalness thesis, contending that the naturalness of virtue renders the supremacy of conscience ineffective. Another criticism suggests that his account of moral philosophy loses much of its significance when separated from the theological background. Here in this work, I argue that these criticisms are unwarranted. Additionally, I explore what Butler means by the supremacy of conscience and elucidate his main arguments for this supremacy and for the need to heed its judgements. While outlining the main arguments of Butler’s doctrine of the supremacy of conscience I introduce a critique of my own, namely, that the part which Butler calls ‘self-condemnation’ should have been more prominently incorporated into his thesis. I propose that defending the natural supremacy of conscience with reference to real life examples of self- condemnation would make his portrayal of conscience more viable and convincing.
버틀러의 도덕철학은 양심이라는 능력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양심이 인간 내면의 최상위 도덕 원칙이며 언제나 그 판단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의 이론에 대한 비판들도 제기되어 왔다. 첫 번째 비판은 그의 ‘자연성 명제’를 문제 삼는데, 덕이 자연스러운 것이라면 양심의 우월성이라는 주장은 효력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 비판은 버틀러의 도덕철학이 신학적 배경에서 분리될 경우 상당 부분 그 의미가 약화된다고 지적한다. 이 논문에서 나는 위 비판들이 타당하지 않음을 주장한다. 또한, 버틀러가 말하는 ‘양심의 우월성’이 무엇인지 탐구하고, 왜 양심이 최상위의 원칙인지, 그리고 왜 양심의 판단을 따라야 하는지에 대한 그의 핵심 논거를 명확히 제시한다. 나아가 나는 버틀러의 양심 우월성 이론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 자신의 비판도 제기한다. 그것은 버틀러가 ‘자기 비난’이라고 부르는 부분을 그의 이론에서 좀 더 뚜렷하게 다루었어야 한다는 점이다. 나는 양심의 자연적 우월성을 실생활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자기 비난의 실제 사례를 통해 옹호함으로써, 버틀러의 양심 개념을 더욱 설득력 있고 생생하게 만들 수 있다고 제안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