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is about the study of the Goryeo Dynasty by Japanese historians, who made a considerable amount of more than 100 articl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Japanese historians" research on the Goryeo Dynasty began in earnest in the 1910s, and in the 1920s, Inaba iwakichi argued that the Goryeo Dynasty was an era of the aristocracy. He called the local forces that existed extensively since the end of Silla, or the Hojok, as aristocrats, and argued that Goryeo Dynasty which was founded by the local forces was a period of the aristocracy based on the Goryeo Dynasty"s Inspector-general(Sasimgwan), Hostage(Kiin) and Chancellery(Munhasŏng)"s strong authority in political organizations that imitate the Tang"s political system. Since its founding, the Goryeo Dynasty has had no choice but to acknowledge the existence of a wide range of local powers(aristocrats), and if Chancellery, controlled by aristocrats, opposes it, even the royal command cannot reach the people. In other words, the monarch is a member of the aristocrats, not an absolute power, and is in a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 the aristocrats. In the 1930s, this discussion served as a premise for the analysis of the Goryeo Dynasty by Inaba himself as well as other researchers. First, Inaba and Hatada Takashi analyzed the temple economy on the premise that Goryeo was an aristocratic political society. Not only did the temple"s land expand amid competition between aristocrats and the royal family, but the Monk Soldiers was important in the defense amid the lack of troops that the monarch could mobilize due to the strong aristocratic power, which strengthened the temple"s power. This discussion by researchers who can embody the academic authority of the time as imperial universities in Kyoto and Tokyo, such as Inabana Hatada, also showed that the theory of the aristocracy of Goryeo Dynasty secured a stable foundation in the academic world at the time. Researchers like Akiura Hideo, who worked for the Joseon History Compilation Association(朝鮮史編修會) around the time of this discussion, not only published a study showing that the sluggish monetary economy of the Goryeo Dynasty wa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istocracy of the Goryeo Dynasty, but also individual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issues such as the Storehouse for keeping Grains paid as tax(漕運) of Goryeo, the Chongbang(政房) and the private army which were discussed in Goryeo as the aristocracy. This theory of the aristocracy in the Goryeo Dynasty was also based on the theory of the Tang-Song transition(唐宋變革) that Naitō Konan claimed since 1914. In the Tang-Song transition Theory, Naitō organized the Tang Dynasty into the era of the aristocracy, which Inaba applied to the Goryeo Dynasty. And at that time, the analysis of the Goryeo Dynasty of Japanese historians was based on this. However, Naitō"s discussion, represented by he Tang-Song transition, was in the prospect that China would need some time after the Xinhai Revolution, but eventually reach modern politics of people"s sovereignty. But, this discussion was also to argue that Japan had already realized the modern politics of people"s sovereignty, which China had not yet reached, at the latter of the 19th century. In other words, Naitō"s discussion denied the Sino-centric worldview and tried to construct the "Tōyō(東洋)" as a space centered on Japan, which has become a new Asian powerhouse in modern times.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aristocracy theory of the Goryeo Dynasty and studies based on it, which were derived from Naitō"s discussion, were also conspired in forming the "Tōyō" as well as claim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stagnation of Korean history.
잘 알려져 있듯이 19세기 말에서 1945년 이전 일본인 역사가들의 한국사 연구(이하 ‘식민주의 역사학’)는 대외관계사와 고대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에 비해 고려시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진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1910년대 들어 본격화한 일본인 역사가들의 고려시대 연구는 1945년 이전까지 100여 편이 넘을 정도로 상당히 많은 양이 이루어졌다. 이 논문은 바로 식민지기 일본인 역사학자들이 고려시대 연구에 대한 것이다. 1910년대 들어 본격화된 일본인 역사가들의 고려시대 연구는 1920년대 들어 이나바에 의해 고려왕조는 귀족정치 시대였다는 논의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신라 말 이래 광범위하게 존재했던 지방세력, 즉 호족을 귀족이라고 하면서 이들에 의해 개창된 고려왕조의 사심관, 기인제도, 唐制를 모방한 정치 기구에 나타나는 문하성의 강력한 권한 등을 근거로 고려가 귀족정치 시대임을 주장했다. 고려왕조는 건국 이래 광범위한 지방세력=귀족의 존재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으며, 귀족들이 장악한 문하성이 반대할 경우 왕명이라 할지라도 백성에게 닿을 수 없다는 것이다. 즉 군주는 절대적인 권력자가 아닌 귀족의 일원으로서 귀족과 경쟁 관계에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1930년대 들어 이나바 본인은 물론 다른 연구자들의 고려시대 분석의 전제로 작용했다. 먼저 이나바와 하타다는 고려가 귀족정치 사회였다는 전제 위에서 사원 경제를 분석했다. 귀족과 왕가의 경쟁 속에서 寺領이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강고한 귀족 세력으로 인하여 동원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한 가운데 국방에서 승병이 중요했고, 이는 사원의 힘을 강화시켰다는 것이다. 이나바나 하타다와 같이 교토와 도쿄의 제국대학이라는 당시 학문적 권위를 체현할 수 있는 연구자들에 의한 이러한 논의는 고려시대에 대한 귀족정치론이 당시 학계에서 안정적인 기반을 확보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실로 이러한 논의가 전개되었을 즈음 조선사편수회에 근무하던 아키우라는 고려시대 화폐 경제의 부진을 귀족정치라는 시대적 특성에서 연유한다는 연구를 발표하는 등 고려시대 귀족정치론은 확대되어 갔다. 이러한 고려시대 귀족정치론은 나이토 고난이 1914년 이래 주장한 당송변혁론에 기반한 것이기도 했다. 나이토가 처음으로 제시했던 당송변혁론은 唐代를 귀족정치 시대로 정리한 것인데, 이나바는 이 논의를 고려시대에 적용한 것이었고, 이것이 당시 일본인 역사가들의 고려시대 분석에 바탕을 이루었던 것이다. 그런데 당송변혁으로 대표되는 나이토의 논의는 신해혁명 이후 중국은 다소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결국 인민주권 주의라는 근대의 정치에 도달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있었다. 하지만 이 논의는 일본은 아직 중국이 이르지 못한 인민주권이라는 근대의 정치를 이미 19세기 말에 실현했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기도 했다. 즉 나이토의 논의는 일본의 타자로서 중국을 위치지우는 언설, 바로 중국 중심의 화이론적 세계관을 부정하고 새롭게 아시아의 강자가 된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으로서 ‘동양’을 구성하려던 것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나이토의 논의에서 연유하는 과거 일본인 연구자들의 고려시대 귀족정치론과 이에 기반한 연구들 역시 한국사의 정치적․경제적 정체를 주장하는 것임은 물론 ‘동양’을 구성하는 데에도 공모하고 있었다고 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