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ith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increased environmental uncertainty, changing external stakeholder dynamics, and inadequacies in managerial compensation systems,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 of management systems on corporate performance, with a specific emphasis on R&D investment, and examines the moderating roles of external monitoring and compensation mechanisms. Building on Berle and Means" (1932) framework of ownership-management separation, we compare the performance outcomes of professional management systems and owner-management systems. Using a dataset from publicly listed companies in South Korea, our findings reveal that, compared to owner-management systems, professional management systems lead to higher R&D intensity. However, the presence of foreign investors weakens this relationship, while stock option plans exhibit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Robustness checks using two-way fixed effects and Heckman’s two-step model corroborate these results.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how external monitoring and compensation mechanisms can address agency problems and shape corporate innovation strategies in modern business environments.
본 연구는 경영체제에 따른 기업의 혁신활동, 특히 연구개발(R&D) 투자에 대한 영향과 외부 감시자와 보상제도가 이러한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불확실성이 증대된 경영 환경과 외부 이해관계자 구성의 변화, 경영진 성과보상 체계의 미비와 도덕적 해이 등, 현대적 맥락에서 실증적으로 탐구한다. 먼저 Berle와 Means (1932)가 제시한 기업 소유와 경영의 분리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전문인 경영체제와 소유 경영체제 간의 성과 차이를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최근 국내 상장기업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문인 경영체제가 연구개발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외국인 투자자와 스톡옵션 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패널데이터 분석 모형을 사용을 분석한 결과, 전문인 경영체제가 소유 경영체제보다 연구개발 집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투자자의 경우, 소유 경영체제 대비 전문인 경영체제의 연구개발 집중도에 대한 영향을 약화시키는 조절효과가 관찰되었고, 스톡옵션 제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헤크만 2단계 모형을 통해 선택편향을 통제한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가 견고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경영체제와 기업 혁신활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외부 감시자와 보상제도가 대리인 문제 완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지를 현대 국내기업의 환경적인 요소를 반영하여 해석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