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동시대 미술 담론으로서의 인류세: 철학·전시·비평의 삼중 구조를 중심으로

The Anthropocene as a Discourse in Contemporary Art: A Triadic Framework of Philosophy, Curatorial Practice, and Criticism

  • 0
커버이미지 없음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discourse of the Anthropocene is constituted and critically rearticulated within the domain of contemporary art. The recent decision by the International Union of Geological Sciences (IUGS) to reject its formal designation as a geological epoch has catalyzed a paradigmatic shift from a stratigraphic unit (chron or series) to an “event.” This narrative transition appears in contemporary exhibition practices in sensory immersion, institutional critique, and speculative ontology. The study foregrounds the philosophical interventions of Bruno Latour and Nicolas Bourriaud, especially their efforts to translate theoretical insights into curatorial methodologies. This article analyzes a range of Anthropocene-related exhibitions, building on their intellectual legacy with three curatorial frameworks: immaterial curating, narrative curating, and spatial curating. Also, particular attention focuses on Aerocene Seoul and its associated forum, a hybrid platform for artistic practice and public discourse. This case exemplifies how the Anthropocene is visualized and critically contested, and reconfigures the discourse through the semiotic and institutional apparatus of art. In conclusion, the article argues that contemporary art actively reconstitutes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boundaries of the Anthropocene and fosters a renewed critical sensibility at the intersection of aesthetics, science, and politics.

본 논문은 인류세 담론이 동시대 미술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존재론적·정치적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재구성되는지를 분석한다. 최근 국제 지질 과학연맹(IUGS)이 인류세를 지질 시대의 하나로 인정하지 않기로 한 결정은 인류세를 시대(chron)나 시리즈(series)가 아닌 사건(event)으로 이해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촉진했다. 이러한 서사적 전환은 동시대 미술 전시에서도 감각적 체험, 제도 비판, 존재론적 상상력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나타난다. 본 연구는 브뤼노 라투르와 니콜라 부리오가 제시한 이론과 그것이 전시 기획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중심에 둔다. 이들의 사유에 영향을 받은 동시대 인류세 전시를 ‘비물질적 큐레이팅’, ‘내러티브 큐레이팅’, ‘공간적 큐레이팅’이라는 세 가지 전략으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또한 토마스 사라세노의 《에어로신 서울》과 포럼을 비롯한 주요 사례를 통해 인류세 담론이 미술의 언어와 제도를 통해 어떻게 재서술되고 감각적·정치적 실천의 장으로 확장되는지를 살펴본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인류세가 동시대 미술에서 단일한 주제가 아닌 철학·전시·비평의 삼중 구조 속에서 감각적·존재론적 조건을 재구성하는 사건적 담론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힌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