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국내 인기 동요의 화성 양상: 2000년대 음원 차트를 중심으로

Harmonic Trends in Popular Korean Children’s Songs: Focusing on the music charts of the 2000s

  • 0
커버이미지 없음

Previous studies on children’s songs have primarily focused on musical elements such as key, har- mony, melody, vocal range, rhythm, and timbre, as well as lyrics, form, and tempo.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involving objective data on harmonic trends in children’s songs across different periods, particularly those including various productions from different music publisher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harmonic analysis of 365 popular Korean children’s songs based on music charts from the 2000s. Six major harmonic elements were identified: primary triads, substitute chords, secondary dominants, related IIm chords, passing chords, and modal interchange. Additionally, a number of songs in minor keys were found. Based on this harmonic analysis, the fre- quency of each harmonic element was examined by year to identify trends in harmonic usage over the study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and frequency of primary triads began to decline around 2018, while the other five harmonic elements gradually increased in use. No distinct yearly pattern was observed in the use of minor keys. From 2018 onward, the chart entry rate of rearranged children’s songs decreased, while that of newly composed songs increased, with the latter tending to feature a wider variety of harmonic progressions. Furthermore, an analysis of harmonic trends by children’s content brand ‘Pinkfong’, ‘Pororo’ and ‘Catch! Teenieping’ which began charting more prominently from 2016, revealed the Catch! Teenieping used a broader range of harmonic elements than the oth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more era-appropriate har- monic choices and structur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ren’s song production.

동요 관련 기존 선행 연구는 음악적 특징인 조성, 화성, 선율, 음역, 리듬, 음색 등을 포괄하거나 노랫말, 형식, 빠르기 등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바 있다. 하지만 시대별 동요의 화성 양상 및 다양한 동 요 제작사의 제작 음원이 포함된 객관적 데이터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여 관련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0년대 음원 차트를 중심으로 국내 인기 동요 365곡의 화성 분석을 진행했다. 이에 주3화음, 대리화음, Secondary dominant, Related IIm, Passing chord, Modal interchange의 총 6가 지 주요 화성을 도출하였고, 추가적으로 단조 사용 곡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화성 분석을 바탕으로 연도별 동요 음원의 화성 빈도를 분석하여 연구 기간 내 동요 화성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분 석 결과, 주3화음은 2018년도를 기점으로 빈도와 사용률이 감소되었으며 이 외의 5가지 화성 빈도와 사용률 이 점차 증가하였다. 단조는 연도별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진 않았다. 한편 2018년도를 기점으로 편곡동요의 차트 진입률은 감소하였고 작곡동요의 진입률이 증가되었으며, 작곡동요에서 다양한 화성을 사용하는 경향이 확인 되었다. 또한 2016년도부터 차트 진입이 확대된 키즈 콘텐츠 브랜드 ‘핑크퐁(Pinkfong)’, ‘뽀로로 (Pororo)’, ‘캐치! 티니핑(Catch! Teenieping)’ 콘텐츠 브랜드별 화성 양상 분석 결과, 캐치! 티니핑의 화성이 타 브랜드 콘텐츠에 비해 보다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향후 유아교육 현장 및 동요 제작 과정에서 시대의 흐름에 부합하는 화성 선택과 구조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