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선형공원 활성화를 위한 공공디자인 설계연구 - 대구광역시 동구 대구선 선형공원을 중심으로 -

A Design Study for Activating Linear Parks - Focused on Daegu Line Linear Park in Dong-gu, Daegu -

  • 0
커버이미지 없음

(Background and Purpose) In contemporary urban regeneration, linear parks have emerged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repurposing underutilized infrastructure such as abandoned railway lines and elevated roads. These elongated public spaces offer opportunities for pedestrian connectivity, ecological restoration, and place-making. However, many linear parks remain predominantly movement-oriented, lacking spatial interventions that foster dwelling, social interaction, and emotional engagement.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ublic design strategy for activating linear parks by incorporating spaces that encourage people to pause and stay. The project focuses on a conceptual pavilion designed for Ayang Park along the decommissioned Daegu Line in Dong-gu, Daegu, South Korea. The pavilion draws from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al typologies, particularly the nugak (pavilion), and reinterprets them as contemporary spatial structures that enhance place identity and foster communal interaction. (Method) The research begins with a theoretical review of key public space theories proposed by William Whyte, Jan Gehl, Jane Jacobs, and Fred Kent, focusing on spatial principles that support comfort, human behavior, and sociability in public places. This is followed by a comparative case study of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near parks—Seoul 7017, Gyeongui Line Forest Trail, New York’s High Line, and Paris’s Promenade Plantee. From these precedents, the study identifies recurring design strategies for embedding “stayable” zones within linear movement corridors. The insights inform a four-stage design process: (1) selecting a spatial node that balances circulation and rest; (2) enhancing place identity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elements; (3) integrating multi-layered programs that include mobility infrastructure, cultural events, and scenic rest areas; and (4) applying sensory-based design details to encourage voluntary use. Visual communication tools such as diagrams, exploded axonometric drawings, and perspective renderings were employed to articulate spatial intentions. (Results) The proposed project consists of a three-tier structure: a ground-level mobility station for bicycles and e-scooters; a mid-level open plaza for community events; and an upper-level shaded pavilion that offers panoramic views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The design incorporates diverse seating options, natural materials, partial transparency for light and ventilation, and ambient lighting to ensure user comfort throughout the day and night. These spatial elements are grounded in human-centered design theories and aim to foster both utility and symbolic resonance within the park. (Conclusions) This study illustrates the potential of design-driven approaches to transform linear parks into inclusive and memorable public places. By merging theoretical frameworks, case-based insights, and spatial experimentation, the proposed intervention offers a culturally rooted, adaptable design model for future linear public spaces in urban contexts.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 내 폐철도, 고가도로, 하천변 등 선형 인프라를 활용한 선형공원은 도시재생의 주요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공공디자인을 통해 그 활용 가능성이 점차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선형공원이 여전히 ‘이동 중심’의 공간으로기획되어 시민의 체류와 커뮤니티 활동을 유도하는 공간으로서의 기능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 동구 대구선 폐철도 구간 중 아양공원 일대를 중심으로, 선형공원 내 머무름 공간의 전략적 조성과 공공디자인의 실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설계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전통건축의 장소적 상징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복합 프로그램을 담은 공간 구성 방식을 통해, 머무름 중심의 공공디자인 전략을 구체화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William Whyte, Jan Gehl, Jane Jacobs, Fred Kent 등 공공공간 이론가들의 디자인 원칙을 기반으로, 머무름을 유도하는 디자인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어 서울로7017, 경의선숲길, 뉴욕 하이라인, 파리 프롬나드 플랑테 등 국내외 대표 선형공원 사례를 분석하여 머무름 공간조성을 위한 디자인 전략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안된 설계안은 ① 위치 선정과 거점화 전략, ② 장소성 강화를 위한 전통건축 요소 도입, ③ 복합 프로그램 수용 계획, ④ 체류 유도형 디테일 디자인 적용의 4단계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구체화되었으며, 설계 패널과 도면 자료를 활용해 그 공간 구현을 설명하였다. (결과) 설계안은 선형공원의 흐름 속에서 정주의 리듬을형성할 수 있는 공간적 거점을 마련하고, 누각의 전통적 의미를 현대 도시 맥락에 도입하며, 커뮤니티 활동과 이동성의 결합을가능케 하는 복합공간으로 구성되었다. 다양한 체류 유도 요소(조망, 좌석, 음영, 재료감, 조명 등)를 통합하여 감각적이고 인간중심적인 공간을 구현함으로써, 선형공원의 기능을 이동에서 머무름 중심으로 전환하는 디자인 전략을 실현하였다. (결론) 본연구는 선형공원 내 공공디자인이 단순한 조형적 개입을 넘어, 사람과 장소를 연결하고 커뮤니티의 일상적 행위를 수용하는 장소 만들기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본 설계안은 향후 유사한 도시 내 선형공간 유형에도 적용 가능한 공공디자인 모델로 확장 가능하며, 도시 공간의 공공성과 정체성을 회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전략적 사례로서 의의를 지닌다.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