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적 접근성 측정에서 경쟁 효과의 중요성 : 2SFCA 모형에 기반한 소아과 접근성 측정 사례를 중심으로
Competitive Effects in Spatial Accessibility: A Case of Pediatrics Using the 2SFCA Model
- 한국지역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Vol.41No.2
-
2025.0135 - 49 (15 pages)
- 24
급속한 도시화와 수도권 집중은 공간적 불평등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수요 집중과 전문의 부족 등으로 인해 소아 의료서비스의 접근성에 관한 연구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 기관 접근성 측정 시 수요와 공급 간 경쟁 효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아과 의료 접근성 분석에 있어, 수요 경쟁만을 고려한 G2SFCA 모형, 수요와 공급 간 경쟁을 모두 반영한 ABFCA 모형, 그리고 수요 및 공급 간 경쟁과 그에 따른 혼잡 효과를 동시에 고려한 CSA 모형을 활용하여, 경쟁 효과의 차이가 접근성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쟁 효과의 차이에 따라 동일 지역에서도 공간적 접근성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경쟁 효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의료 접근성 측정의 중요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공간적 접근성을 평가할 때 해당 재화나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수요 및 공급 경쟁을 반영해야 하는지 사전에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rapid urbanization and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metropolitan areas have exacerbated spatial inequalities. Pediatric healthcare services, in particular, have garnered increasing research attention due to issues such as concentrated demand and shortages of specialized medical professionals. However, studies that account for the competitive effects between demand and supply in measuring healthcare accessibility remain insufficient. This study employs the G2SFCA model, which considers only demand competition, the ABFCA model, which accounts for both demand and supply competition, and the CSA model, which incorporates demand-supply competition and resulting congestion,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competitive effects on pediatric accessibility. The findings reveal that spatial accessibility varies within the same region depending on competitive effects. This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comprehensively considering competitive effects in measuring healthcare accessibility. At the same time, it suggests that when evaluating spatial accessibility, it is essential to thoroughly examine in advance whether demand and supply competition should be reflect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ods or services to be analyz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