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살풀이춤에 내재된 생태적 의미 고찰

  • 83

오늘날 우리는 레이첼 카슨(Carson R., 1962)이 ‘침묵의 봄’* 대구가톨릭대학교 무용․공연예술학과 박사과정 투고일 2010. 11. 14. 1차 심사일 2010. 11. 30. 2차 심사일 2010. 12. 15. 게재확정일 2010. 12. 15. ‘모든 사물은 연관을 맺고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생태학적 연결을 거스르고 물이나 토지를 오염시킨 결과 생물들의 공생 관계를 완전히 교란시켜 생명체의 소리가 들리지 않는 봄’의 의미로 환경운동이 시작된 계기를 주었다. 을 경고한 이래, 소위 ‘생태학적 위기(ecological crisis)’로 불리는 시대에 살면서 심각한 환경과 생명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지구의 온난화 현상, 오존층 파괴, 산성비, 산림 황폐화 등으로 상징되는 환경훼손의 문제는 모든 인간이 직면한 현대의 문제이면서 인간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환경문제로 인한 생명파괴의 결과는 급속한 기술적 진보가 그 원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더욱 근본적인 원인은 환경에 대한 가치관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생태학적 위기’의 사회에서 많은 환경윤리학자들은 동양이 서양보다 훨씬 더 자연친화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동양의 사상은 ‘인간이 곧 자연이요, 자연이 곧 인간’이라는 생각에 바탕을 둔 ‘물활론적 세계관’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왔으며(조용개, 2007:94), 이미 생태사회였던 우리 전통문화의 지혜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도 있다. 따라서 자연에 대한 우리의 전통적 가치관이 내재되어 있는 전통문화는 생태론적 사회의 전환에 매우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춤의 현재 모습은 그 지역의 세계관과 환경의 흐름을 압축해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어떤 춤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춤을 따르는 민족의 우주관, 생명관, 자연관, 인간관을 알 수 있다. 특히, 춤은 무엇보다 직접 몸으로 생태문화를 익히고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이런 점에서 춤의 생태적 차원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생태적 차원에서 한국 춤을 조명하기 위하여 우리 춤의 백미라 할 수 있는 살풀이 춤에 내재된 생태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살풀이춤에 내재된 우리 민족의 자연관, 생명관을 바탕으로 생태적 이론이 아닌 몸을 통한 실천이 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춤의 예술적 특성을 토대로 생태적 감성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생태사회에서의 한국 춤의

Ⅰ. 서 론

Ⅱ. 생태적 의미와 예술의 생태적 감성

Ⅲ. 살풀이춤의 세계관과 생태적 의미

Ⅳ.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