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는 자폐성 장애아동의 부적응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원예치료를 적용하였다. 원예치료의 효과는 자폐성 발달장애아동들에게 서로를 배려하고 친밀감을 가짐과 동시에 주위환경에 대한 관심이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고 활동의 결과물을 수확하고 함께 나눔으로써 구체적 사회기술을 갖추는데 유용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자폐아동의 고립행동, 회피행동, 충동행동에 원예치료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여 장애인 복지 현장의 전문가들에게 자폐성 장애아동을 돕는 임상사회사업적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남 G시 소재 장애전담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으며 발달장애로 진단받은 아동 3명을 대상으로 개입 전후의 부적응 행동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기간은 2009년 3월 10일부터 2009년 4월 10일까지 주2회(화, 금) 하루 40분씩 모두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부적응 행동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모든 회기를 비디오로 녹화하여 이를 등간기록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상 아동 3명에 대한 대상자간 다중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프로그램 진행 동안 아동은 식물체를 손의 쥐는 활동과 여러 가지의 소도구를 이용한 대 근육 운동으로 다른 치료적 접근에 비해 동적이며 꽃과 나무 등의 재료로 인한 정서적 안정감이 자제력을 증진시키고 부정적인 분노나 공격적인 감정을 이완시키며 주의 집중 향상에 효과가 있음으로 원예치료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고립행동, 회피행동, 충동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자폐성 장애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대한 조기개입 서비스로 원예치료의 다양한 접근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져야 하며 아동의 개인적 요인, 즉 개인별 흥미도의 차이,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를 보다 충분히 고려하여 계획하고 적용한다면 아동의 부적응 행동 감소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부적응 행동에 대한 용어의 정의
방 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