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385.jpg
학술저널

[종설]관계도식 이론과 교류분석

  • 161

저자는 관계도식 이론을 자아상태, 각본 그리고 게임 이론을 포함하는 교류분석의 중심개념과 통합한다. 관계도식은 각각의 자아상태를 생동하게 하는 관계적 경험에서 비롯된다. 방어적인 관계도식은 C자아상태와 P자아상태에서 나타나는 반면, A자아상태는 끊임없이 변하고 변형되는 적응적인 관계도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전이는 방어적인 관계도식을 포함하며 인생 각본은 방어적 관계도식의 개인적 정보망에 해당한다. 저자는 게임과 게임을 실행하는 것 간의 유사성과 관계의 무의식성의 개념을 탐색한다. 게임은 방어적 도식을 관계에서 실행하는 것이며, 각본을 강화하는 것으로 제안한다. 저자는 또한 현존상태와 현재 순간의 수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개념 -깨어있는 A자아상태- 를 제안한다. 그러한 태도는 자각을 증진시키고 방어적 관계도식에서 변화를 촉진한다. 관계도식 이론은 신경과학과 심리학에서의 연구로부터 얻은 과학적 증거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 이전의 논문(츠벨크, 2009)에서 나는 개인의 관계에 대한 주관적 체험의 도식(schema) 내면 깊숙한 곳에 있는 사고에 관한 기본적인 규칙들로서, 자동적 사고의 기초가 되는 정보 처리의 기본적인 틀을 말한다. TA에서의 각본신념, 핵심신념으로 연결할 수 있고 부모의 P적 메시지와 모델링, 공식적/비공식적 교육 활동, 또래 경험, 외상, 성공 등을 포함한 다양한 삶의 경험들에 영향을 받는다. 을 언급하는 관계도식(relational schema)의 개념을 설명했다. 이 도식은 한 개인의 관계에 대한 주관적 경험의 인지적, 감정적, 심리적 그리고 행동적 측면들을 포괄한다. 이것들은 초기 아동기에서 시작되지만 일생을 통해 교정되고 변형된다. 또한 다른 사람들과의 경험속에 일반화되어 나타나므로 인간관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의 기본 형태로 자리 잡게 된다. 나아가 이들은 우리가 대인관계를 확립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이 논문의 목적은 관계도식 이론 이 교류분석(이하 TA로 표기)의 중심개념, 특히 자아상태, 인생각본 그리고 게임이론과 어떻게 연결되는 것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관계도식과 자아상태

적응하고 방어적인 관계도식

관계도식과 통합하는 A자아

C와 P자아상태와 방어적인 관계도식

관계도식과 전이

자신의 도식과 동일시 : C자아상태

다른 사람의 도식과 동일시: P자아상태

자신의 경험과 타인의 경험 사이의 내부 대화

인생각본과 도식

관계적 무의식

게임과 관계 실행(Game and relational enactment)

깨어있는 A자아와 도식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게 되기

관계도식, 신경과학 그리고 연구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