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KCI등재
학술저널
키워드
초록
우리의 건국신화가 우리 생명의 뿌리와, 씨족과 국가의 기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이 의문을 풀어 가는 과정에는 세 가지 논리적 전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첫째는, 우리신화는 늘 滿洲나 시베리아, 즉 동북아시아라는 확대경 속에서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蒙古와 滿洲의 여러 민족은 물론, 시베리아의 제 민족 신화의 양상을 이해해야 한다. 둘째는, 씨족이나 국가의 기원을 설명하는 시조신화 혹은 건국신화는, 생명의 기원에 대한 의문을 설명하는 인류(남녀)기원 신화와의 공통기반을 전제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목차
1. 시조신화와 건국신화를 보는 눈
2. 티벳, 蒙古, 滿洲, 韓國의 父系始祖와 그 성격
3. 始祖母 혹은 母系의 生命現象과 象徵
4. 高麗, 朝鮮建國談의 神聖 원리
5.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5)
- 韓.中 城隍說話 比較 硏究
- 동아시아 인신혼형 홍수신화의 구조적 탐색 : 머서족 홍수신화를 중심으로
- 한국과 중국소수민족의 구비서사시 비교 연구
- 한국장군설화의 통시적 연구
- 신화와 민담
- 설화에 나타난 여성주의다운 상상력 읽기와 민중의 여성인식
- 신립설화의 역사적 의미와 기능
- 東아시아의 創世神話 硏究 : 만족․몽골․한국 창세신화의 양상과 변천
- 義慈王말기 亡國豫兆기사류의 豫兆談적 성격 一考
- 원혼설화에 나타난 원혼의 형상성 연구 : <아랑형>과 <사그라진 신부원귀>설화를 중심으로
- 東北亞의 建國神話 : 창조론과 남녀 결합생식론의 재현양상을 중심으로
- 제주도 큰굿내의 신화에 나타난 가족구성상의 특징과 의의
- 口碑說話에 나타난 여성의 ‘性的 主體性’ 문제
- 시베리아 오로치족의 신화와 신앙에 대한 연구
- 동북아 창조신화와 양성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