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東아시아의 創世神話 硏究 : 만족․몽골․한국 창세신화의 양상과 변천

  • 255
커버이미지 없음

한국 창세신화가 한민족 고유의 것이어서 다른 인접 민족들과 엄격한 개별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세부적인 부분에서 이런 생각이 타당하다고 하겠으나, 창세신화 전체의 골간을 살피고 신들의 기능을 주목하게 되면 차이점에 못지않는 공통점이 발견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러 민족들의 창세신화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같은 점을 확인하는 작업이 의의가 있고, 같은 점이 있기 때문에 다른 점을 살펴 신화 변천의 통시적 연구가 가능해진다. 본고는 세 민족들의 창세신화를 통해 창세신화에 등장하는 주역신들의 관계를 살펴 창세신의 기능분화에 따른 창세신화 변천의 한 경로를 파악하는 절차를 밟는다. 논의의 중심은 상대적으로 공통점을 확인하는 데에 있으며, 고찰의 결과가 동아시아 창세신화에 있어 하나의 일반적 성격을 드러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자료를 일괄적으로 소개하고 그에 따라 논의를 진행한다. 한국의 자료는 세 민족의 창세신화를 함께 논의하는 자리에서 필요한 대목을 인용하고 소개하는 방식을 취한다.

1. 서론

2. 자료소개

3. 자료의 검토

4. 창세신의 양상과 창세적 과업의 분화

5. 창세신화 변천의 의미

6. 결론에 대신하여-創世神話와 英雄神話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