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국민요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 작성된 것이다. 선행 연구사를 검토하고, 문제점과 쟁점을 점검해서 앞으로 연구의 지침으로 삼고자 했다. 논의한 결과, 세 가지 중요한 연구 과제를 확인했다. 첫째는 연구 방법에 대한 반성이었다. 현장론적 방법에 치우친 연구 방법을 회복해서 구조주의적 방법과 현장론적 방법을 합쳐야 한다고 판단했다. 둘째는 비교민요학의 연구 과제를 상정하고 구체적인 예증으로 일본 민요와의 비교를 시도했다. 셋째는 민요의 생성과 소멸을 어떠한 시각에서 연구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민요 보존에 대한 방안을 강구했다. 이러한 연구 과제는 민요 연구의 현단계를 결정하는 데 긴요하다고 주장했다.
1. 민요 연구방법의 제경향
2. 비교민요학의 과제 : 한국의 <모심는소리>와 일본의 <田植唄>
3. 민요의 생성과 소멸